내 눈 속에 비치는 밤2014. 12. 22. 14:49
반응형
소염진통제 이부프로펜, 노화도 억제"<미 연구진>                                

 

한성간 기자 = 두통, 근육통 등에 널리 쓰이는 비처방 소염진통
제 이부프로펜(성분명)이 노화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텍사스 A&M 대학 애그리라이프(Agrilife) 연구소의 마이클 폴리메니스 박사
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 중 하나인 이부프로펜이 효모, 선충, 초파리
등 다양한 생명체들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고 영국
의 인디펜던스 인터넷판과 과학뉴스 포털 피조그 닷컴(Physorg.com)이 20일 보도했다
.


    제빵에 사용되는 효모, 노화연구에 자주 이용되는 실험생물인 꼬마선충(caenorh
abditis elegans) 그리고 초파리에 이부프로펜을 투여한 결과 수명이 평균 15% 늘어
났다고 폴리메니스 박사는 밝혔다.


    이는 사람으로 치면 수명이 12년 연장되는 것과 맞먹는 효과라고 그는 설명했다
.


    이 생명체들은 수명이 연장됐을 뿐 아니라 건강상태도 전보다 더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부프로펜 실험에는 사람이 일반적인 두통 등에 사용하는 것과 같은 용량이 투
여됐다.


    이는 이부프로펜이 노화와 관련된 그 어떤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것으로 노화과정의 연구와 이해에 새로운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폴리메니스 박사는 말했다.


    특히 빵 효모에 대한 실험에서는 이부프로펜이 모든 생명체의 세포 하나하나에
들어있는 필수아미노산인 트립토판의 흡수를 방해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것이 수명 연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는 알 수 없으며 추적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폴리메니스 박사는 강조했다.  


    인간에게는 트립토판이 음식을 통해 섭취된 단백질로 얻어지는 필수영양소이다.


    이부프로펜은 사람에게서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효소인 사
이클로옥시게나제(COX)를 차단한다.


    그러나 효모, 꼬마선충, 초파리는 이러한 효소가 없고 염증반응도 없다.


    따라서 이부프로펜의 항염증 작용이 이 생명체들의 수명을 연장했다고는 볼 수
없다.   


    이부프로펜 외에도 우리가 이미 사용하고 있는 다른 약들 중에도 생명체의 노화
를 억제하는 약이 있을 것으로 폴리메니스 박사는 추정했다.


    이부프로펜은 파킨슨병, 치매 등 일부 노화관련 질환 위험을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다는 일부 연구결과들도 있다.


    이부프로펜은 1960년대 초에 영국에서 처음 소염진통제로 개발돼 처방약으로 사
용되다가 1980년대에는 의사의 처방 없이도 구입이 가능한 비처방약이 됐고 지금은
애드빌 등의 여러가지 제품명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부프로펜은 지나치게 많은 용량을 복용할 경우 위장, 간 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비교적 안전한 약으로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초건강을 위한 '필수
의약품 명단'에도 포함돼 있다.


    이 연구결과는 온라인 과학전문지인 '공중과학도서관-유전학'(PLoS - Genetics)
에 발표됐다.

 

반응형

'내 눈 속에 비치는 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득드는 생각 메모  (0) 2015.01.07
교훈 13가지  (0) 2014.12.19
Whitney Houston_Greatest Love Of All  (0) 2014.12.17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