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ndards of Professional Conduct ( 요약보충3 )
Standards of Professional Conduct
- Duties to Clients, Duties to Employers 세부보충
- Duties to Clients
A: Loyalty, Prudence & Care
① Loyalty : 고객의 Interest우선
Pudence : 선의의 관리자로서 고객의 risk return을 고려하라
case - 고객에게 harm이 되는 것을 avoid
② Client는 누구인가 : 개인고객, 단 pension plan이나 trust의 경우 manager가 아
니라 ultimate beneficiars 가 client임
③ 고객의 자산을 관리함에 있어서 IPS나 mandate statement등 governing
document에 맞춰 할 것. Portfoliio context에서 파악
④ Duty의 적용 : Investment recommendation 이나 action 이외의 proxy vote와
soft dollar arrangement에도 해당
- proxy : 고객을 대신해서 투표권 행사
- soft dollar arrangement : 고객의 brokerage를 kick back 받는 research
report 등이 고객을 위해서 쓰여야 한다.
- brokerage는 고객의 자산이므로 best execution, good report, good PX를
주는 broker를 사용해야 함.
⑤ Procedures of Compliance : page 51 참고
case - pension fund를 관리하는 사람에게 top management에서 경영권 방어를
위해 자사주를 매입 요청함 --> 순전히 fund의 투자관점에서 볼 것
soft dollar를 고객이 아닌 manager나 그 회사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
vilation임
B: Fair Dealing
① disseminating recommendation
disseminating material changes
disseminating investment actions
각 quality, timing allocating 에서 차별하는 행위 금지
② Not equally but fairly why ?
- 고객의 투자목적에 맞도록 추천 (suitability 문제)
- different level of service가 가능함 (service level에 따른 disadvantage가
없고, 사전에 고객이 level of service 선택가능하도록 disclose 해야함)
③ 고객의 이익을 M/C의 position을 이용해 취하지 말것.
④ Procedures of Compliance
- recommendation을 회사내부와 고객에게 simultaneous dissemination 할것
- shorten the time frame between decision & dissemination
* maintain client list & holdings
* develop written allocation procedures
* disclose level of service
⑤ case - 같은 objective를 가진 comingled funds와 company pension fund를
manager가 차별적으로 운용하는 것.
C: Suitability
① advisory 일을 하는 M/C
- 고객과 그의 투자조건을 철저히 조사하여 IPS를 만들며 1년에 1회이상
reassess 한다
- 그것에 적합한 service를 제공하며
- 그 suitability는 portfolio context에서 보라.
② Portfolio management를 하는 M/C
- 정해진 objectives와 constraints에 맞게 운용할 것
③ Procedures of compliance
- client identification
- investor objectives
- investors constraints를 잘 파악할것
- annual review, minimum
④ case - 두 고객이 same salary라는 것만으로 동일한 strategies를 짠 경우
- risk averse 고객이라도 필요하면 고객에게 설명하고 derivatives 운용
도 가능
D: Performance Presentation
① provide credible performance information, avoid misstaing or mislesding
② past performance와 projected(expected) performance에 대한 presentation
③ GIPS 와 관련되어 있음
④ case - GIPS 를 partially comply 하는것
- 이직자의 경우 예전 회사에서의 performance도 광고 가능 (단, 기간, role
에 대해 disclose 할것)
- simulation의 경우 simulation한 것이라는 사실을 disclose 할것
- 좋은 성과를 보여주기 위해 compostite를 조정하는 행위
E: Preservation of Confidentiality
① 업무적으로 취득한 업무관련 정보와 개인적 정보 모두 보호대상
② present, prospective, past client 모두 대상
③ confidential 안 지켜도 되는 경우
* 고객의 illegal activities에 대한 것이거나
* 법으로 disclose 하게 되어 있는 경우
* 고객이 허락하는 경우
* 다만 Illegal 이라도 법으로 confidential을 유지해야 하는 경우는 누설금지
(변호사, 카톨릭 신부의 고백성사등)
④ CFA 협회의 PCP 조사에는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open해도 됨
(extention of M/C)
⑤ case - 선의의 목적이라 하더라도 비밀 divulge 금지
- Duties to Employers
A: Loyalty
① 회사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규정
- refrain from injuring the firm
- refrain from depriving it of profit, M/C's skills & abillities
- keep confidentiality --> 공익을 위한 경우는 OK
② personal & family obligation 은 Not subordinate
③ Independence practice
* still employed 상태에서 independent competitive activities를 할 plan이
있으면 employer에게 notify & written consent를 받을 것
* 근무시간 이외의 자기시간에 준비만 하는 것은 no violoation
(즉, written consent가 필요X)
④ Leaving the company
* 회사의 자산을 가져가는 행위금지 (trade secret, client list)
* resignation이 effective 하기전에 solicitation of client 금지
* 이직후 경험, 지식 활용가능 but fomer company 자산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
⑤ case - 회사 옮기기 전에 고객에게 solicitation call 하는 경우
- 보상을 받지 않고 일한 회사에서 만든 산출물도 이직시 반출금지
(금전적 보상은 아니더라도 경험과 지식으로 보상받았다고 봄...-0-)
- Non-competing job인 경우 지나친 시간 할애만 아니면 되employer
와 상의 할것
ex- 펀드매니저가 제약회사에 가서 "근무시간에" 일을 해줄경우 -->disclose
해야함
"근무시간이 아닌경우" -->disclose 필요 X
B: Additional Compensation Arrangement
① employer의 이익과 conflict가 있는 service 제공으로 compensation or benefit
을 받기 위해서는사전에 employer, 제공자 둘다에게 written consent를 받을 것
② 이는 - M/C loyalty 나 objectivity, 그리고 potential COI를 알수 있음
- true cost of M/C's service를 알 수 있음
③ case - 고객이 일정 return이상 올려주면 M/C에게 benefit을 약속함
contingent benefit 이나 미리 written consent가 있어야 받을 수 있음.
C: Responsibility of Supervisors
① Supervisors로서 관리감독하에 있는 사람들의 violation of Law (윤리규정이
아님)를 detect & prevent 할 수 있는 적절한 compliance procedures를 set up
하고 잘 working 하도록 하라는 의무임.
② 이 규정은 피 감독자가 M/C (members, candidators) 이던 아니던 다 적용됨
③ 대개 이 규정은 다른규정의 violation과 함께 나타다는 경우가 많음.
출처 : http://blog.naver.com/acme
'My way > CFA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Session 1. Ethical and Professional Standards 요약보충1 (0) | 2013.08.20 |
---|---|
Standards of Professional Conduct ( 요약보충2) (0) | 2013.08.20 |
Study Session 4, Leading #17 : Output and Costs 요점정리 (0) | 2013.08.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