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사람 서재속에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 (0) | 2017.05.04 |
---|---|
<부자들의 지갑 사용 규칙> (0) | 2014.12.01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2 (0) | 2013.08.25 |
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 (0) | 2017.05.04 |
---|---|
<부자들의 지갑 사용 규칙> (0) | 2014.12.01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2 (0) | 2013.08.25 |
원칙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648331 (0) | 2018.06.19 |
---|---|
<부자들의 지갑 사용 규칙> (0) | 2014.12.01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2 (0) | 2013.08.25 |
<부자들의 지갑 사용 규칙>
1. 새 지갑을 샀다면 현금으로 1000만원을 넣어본다
2. 지폐는 아래위를 가지런히 맞춰 넣는다
3. 5만원짜리 지폐를 가능한 한 많이 넣는다
4. 동전은 동전지갑에 따로 넣는다
5. 희귀한 동전을 모아본다
6. 500원 동전은 전용 저금통에 넣는다
7. 돈을 낼 때는 새 돈으로 낸다
8. 돈을 건넬 때는 정중하게 건넨다
9. 돈에게 인사를 해 본다
10. 세금은 기분 좋게 낸다
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 (0) | 2017.05.04 |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2 (0) | 2013.08.25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1 (0) | 2013.08.25 |
2. ‘virtu‘
군주론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헌정사를 제외해 총 2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국가의 종류(특히 군주국에 대해)와 획득 방법에 대해서 말하고, 이후 군주론이라는 이름답게 ‘새로운’ 국가에서 ‘새로운’ 군주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무력과 설득(력)으로 나누어서 이야기한다. 즉, 군주론의 정수는 무력과 설득(력)이라는 'virtu'(역량 혹은 덕)를 모두 겸비한 군주는 역사적 국면에서 헤게모니를 잡을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먼저 군주론에 있어 자주 등장하고 중요한 용어인 'virtu‘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virtu’ 혹은 ’virtuoso’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역량이나 덕에서부터 능력이나 기술, 화력, 결단력, 힘, 기백, 용기, 용감함, 용맹, 무훈, 기백, 뛰어난 성품, 위대한 정신 심지어 활의 위력(virtu)를 나타내는 물리적 대상에 까지 다양한 뜻을 지니고 있는 이 용어는 통상적으로 역량이나 덕의 의미를 지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것이 항상 선한 뜻을 지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마키아벨리는 이 용어를 선과 악의 구분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간혹 ‘무자비함‘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흔히 마키아벨리를 보고 잔혹하다느니 피도 눈물도 없다느니 하는 비판을 자주 하는데 아마 목적을 위해서라면 악행도 괜찮다는 이 용어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한편으로 우리는 이러한 'virtu'를 악으로써 남용한 나치를 알고 있는데, 이들도 결국은 파멸했다. 즉, 군주는 이러한 ’virtu‘를 적절히 겸비해야만 하며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결국 실패하고 만다.
마키아벨리는 'vritu‘중에서도 특히 무력과 설득(력)을 겸비한 군주는 어떠한 시련도 극복할 수 있으며, 시련을 극복한 군주는 새로운 국가를 잘 유지해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군주는 무력과 설득 중 어떤 역량을 먼저 겸비해야 하는가? 마키아벨리는 이러한 물음에 무력이 먼저라고 주장한다. 마키아벨리는 인민을 믿지 못하며, 과거 설득(력)만을 겸비한 군주는 모두 실패했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무력은 자신의 실질적인 힘인데 반해, 설득은 다른 사람에게 비전(Vision)을 제시하는 힘일 뿐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마키아벨리에게는 군주 ’자신’의 힘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군대에 대한 입장에서도 마키아벨리의 생각은 잘 나는데, 무력이 자신의 실질적인 힘이라면 군주는 자신의 군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가 이렇게 분열된 이유 중 주된 이유는 용병의 사용이며, 이들을 이용하는 군주는 무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새로운 군주는 자신의 군대를 만들어야 하며, 그것을 계속 유지시키고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무력은 물리적인 힘만이 아닌 제도적인 법(질서)도 의미하는데, Well-odered law(좋은 법)은 합법적으로 인민을 통치하고 군주의 주장을 관철시킬 수 있는 군주의 무기인 것이다.
‘모든 국가의 토대는 좋은 법과 좋은 군대이며, 좋은 군대가 없으면 좋은 법을 가지기란 불가능하고, 좋은 군대가 있는 곳에는 항상 좋은 법이 있다.’ - 마키아벨리
__
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 (0) | 2017.05.04 |
---|---|
<부자들의 지갑 사용 규칙> (0) | 2014.12.01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1 (0) | 2013.08.25 |
부제 :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시대-
※먼저 이 글은 제가 (고등)학교에 제출할 용도로 작성한 글임을 밝힙니다. 한글 문서로 먼저 작성하고 후에 올렸기 때문에 보기 안좋습니다. 배경에 관한 설명이기 때문에 역사 밸리에 올려봅니다. 세계사에 대해서 무지하다가 이번 기회에 이야기 세계사를 통해 배운거라 내용이 맞지 않는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지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떠한 책이든 마찬가지겠지만, 특히 고전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것이 쓰여 진 배경과 이유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왜냐하면 고전의 숨겨진 배경과 지은이의 집필 의도를 파악해야 고전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고 향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어떠한 ‘text’(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context‘(배경)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한 감상을 쓰기 전에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시대와 그 집필 의도를 살펴보기로 하겠다.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 1469-1527)가 살았던 15세기는 중세 유럽의 질서가 붕괴되고 새롭게 근대가 성장해 가는 시대라 할 수 있다. 흔히 사람들은 근대(Modern)를 자본주의의 발달로 중세의 자급자족 원시 농업에서 근대적인 교환경제로 발전한 시대라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설명한다. 하지만 이러한 패러다임(사유의 틀)의 변화는 전체적인 관점과 역사의 인과관계 속에서 파악해야 하기 때문에 먼저 중세 유럽의 질서가 붕괴되기 시작한 배경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두 번째 사건은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백년 전쟁이다.(백년 전쟁의 전개 과정에 대해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중세는 봉건적 질서로 영주(귀족)가 자신의 지역을 다스리고 그 안에서 자신의 농노들을 마음대로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농노들에게는 왕보다는 영주가 자신을 다스리는 존재였다. 하지만 프랑스 왕위 상속권 문제로 시작한 영국과 프랑스 간의 백년 전쟁은 최후의 봉건적인 전쟁으로써 이 전쟁으로 왕권이 강화되어 절대왕정이 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여기서 제3의 신분인 부르주아 계급은 왕권 강화에 기여하면서 국가 경제를 좌지우지하게 되었고, 이는 곧 자급자족 원시 농업체제에서 근대적인 교환경제체제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이기도 하였다. 또 유럽은 전쟁으로 인한 민족감정 고조로 본격적으로 민족국가(국민국가)가 건설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http://windtwt.egloos.com/4438333
내일의 스타벅스를 찾아라 (0) | 2017.05.04 |
---|---|
<부자들의 지갑 사용 규칙> (0) | 2014.12.01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에 대해서. -2 (0) | 2013.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