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데이터2020. 3. 30. 23:32
반응형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5. 2. 21. 11:23
반응형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4. 7. 23. 15:55
반응형

'빚 투자' 신용융자 잔액 올해 첫 5조 돌파(종합)                                 


 

                                                       [주식] 2014/07/23 15:40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증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신용융자 잔액이
5조원을 넘어섰다.


 

    신용융자 잔액은 투자자들이 증권사에서 돈을 빌려 투자한 금액이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11. 14. 19:14
반응형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11. 11. 11:15
반응형

한국 거래소 예비상장심사승인 기업 조회

http://www.krx.co.kr/m6/m6_1/m6_1_3/m6_1_3_3/JHPKOR06001_03_03.jsp

 

시장 투자심리를 알 수 있는 지표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10. 15. 22:42
반응형

 

출처 : 매일경제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8. 25. 22:01
반응형

★ 계정과목별 용어정리 ★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대차대조표 계정과목

분류<?XML:NAMESPACE PREFIX = O />

계정과목

코드

내용

자산

당좌자산

현금

101

통화, 자기앞수표, 타인발행 당좌수표, 가계수표

당좌예금

102

당좌거래와 관련한 예금

보통예금

103

보통예금 입.출금

기타제예금

104

기타 달리 분류되지 않는 예금

정기예금

105

각종 정기예금 입.출금

정기적금

106

각종 정기적금 입.출금

유가증권

107

국채, 공채, 지방채 등의 매입 및 처분

외상매출금

108

상품 또는 제품을 매출하고 대금을 외상으로 한 경우

받을어음

110

받을어음 입출금

공사미수금

112

건설업의 공사관련 미수금

단기대여금

114

타인에게 대여한 대여금(대여기간 1년 이내)

미수수익

116

당기에 속하는 수익 중 미수액

카드미수금

118

카드미수금

미수금

120

고정자산을 매각하고 대금을 외상으로 한 경우

선급금

131

물품을 인도받기 전 대금을 미리 지급한 경우

선급비용

133

각종 비용을 미리 지급한 것(미경과 비용)

가지급금

134

대표이사에게 일시적으로 돈을 빌려준 것

부가세대급금

135

물품 등의 구입시에 부담한 부가가치세

선납세금

136

예금이자에 대한 이자 소득세 등

주.임.종.단기채권

137

사업주,임원,종업원들에게 단기적으로 빌려주는 비용(ex:전세대출)

전도금

138

회사의 업무와 관련하여 경비 확정전 일시 지급한 금액

재고자산

상품

146

상품(,소매업)

제품

150

제조업의 완성제품

반제품

151

원재료를 가공한 중간 제품

재공품

152

생산과정에 있는 물품

부품(원재료)

153

기본이 되는 원료와 재료

저장품

167

저장하는 물품이나 생산품

미착품(기타)

168

도착하지 않은 상품이나 원재료, 제품

투자자산

장기성예금

176

예금 중 예치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장기성 예금

특정현금예금

177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예금

장기대여금

179

대여기간이 1년을 초과하여 기업의 자금을 대여한 것

투자부동산

181

투자를 목적으로 취득한 부동산

퇴직보험예치금(투자)

182

회사가 단체퇴직보험을 가입할 경우

유형자산

토지

201

토지

건물

202

사무실, 공장, 창고 등 회사소유 건물

구축물

204

용수설비, 폐수처리장치 등

기계장치

206

각종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208

화물자동차, 승용자동차, 지게차, 중기 등

공구와기구

210

공구. 기구로서 100만 원을 초과하는 것(이하 : 소모품)

비품

212

책상,의자,에어컨,캐비넷,컴퓨터,팩시밀리,복사기 등

건설중인자산

214

건설중인 자산의 가액

시설장치

219

기계설비의 부속적인 시설

무형자산

영업권

231

영업상의 권리

특허권

232

특허와 관련한 권리를 금전적 가치로 계상한 것

상표권

233

특정상호가 상표법에 의하여 등록된 경우 그 가치

실용신안권

234

제품 등을 현재상태 보다 사용하기 편하게 만든 것

의장권

235

의장관 관련한 권리

면허권

236

면허권 취득과 관련한 비용(건설업면허 등)

창업비

238

회사가 부담할 설립비용과 발기인이 받은 보수 및 설립등기에 지출한 세액

개발비

239

개발과 관련하여 지출한 고액비용  

기타
비유동
자산

장기성매출채권

186

외상매출금 중 회수기간이 결산일로부터 1년 이상인 채권

장기성받을어음

189

받을어음 중 회수기간이 결산일로부터 1년 이상인 채권

임차보증금

192

공장, 사무실, 기계, 차량등의 전세나 월세의 보증금

전세권

193

전세권

기타보증금

194

영업보증금, 보증금등

부도어음

195

지급이 거절된 어음/수표를 일시적으로 처리하는 계정

전신전화가입권

196

전화가입 보증금

부채

 

유동부채

외상매입금

251

물품 등을 구입하고 그 대금을 나중에 지급하기로 한 것

 

지급어음

252

대금결제를 어음을 발행하여 지급한 것

 

미지급금

253

고정자산 등을 구입하고 그 대금을 나중에 지급하기로 한 것

 

예수금

254

갑근세,국민연금,건강보험 등을 근로자로부터 미리 받아둔 것

 

부가세예수금

255

매출시 매입자로부터 받아 둔 부가가치세

 

당좌차월

256

당좌예금잔액을 초과하여 발행한 수표금액(사전약정 체결)

 

가수금

257

대표이사로부터 일시 차입한 돈

 

임대보증금

258

임대보증금

 

선수금

259

제품을 인도하기전 그 대금을 미리 받은것

 

단기차입금

260

1년 이내에 상환하여야 하는 차입금

 

미지급세금

261

법인세 등의 미지급액

 

미지급비용

262

비용과 관련하여 그 대금을 나중에 지급하기로 한 것

 

선수수익

263

수입금 중에서 당기의 것이 아니고 차기 이후의 것

 

유동성장기부채

264

만기 1년 이상 차입금 중 만기가 1년 이내에 돌아오는 차입금

미지급배당금

265

주주총회의 승인이 없어 지급하지 아니한 배당금

신용카드

273

신용카드

비유동
부채

사채(社債)

291

1년 이후에 상환예정인 회사채(개인사채가 아님)

 

장기차입금

293

상환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차입금

 

퇴직급여충당금

295

결산일 현재 전 임직원이 퇴직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지급해야 할 퇴직금액

단체퇴직보험충당금

296

단체최직보험충담금

주.임.종.장기차입금

303

상환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주.임.종.차입금

관계회사장기차입금

304

상환기간이 1년을 초과하는 관계회사 차입금

외화장기차입금

305

외화로 빌린 차입금

 

장기임대보증금

307

장기임대보증금

자본

 

자본금

자본금

331

법인의 경우 납입자본금

 

우선주 자본금

332

발행한 우선주(배당은 우선 받을 수 있으나 의결권 행사 불가)의 액면가액

출자금

337

개인사업자의 경우 자본금

인출금

338

출자금의 차감 항목

자본
잉여금

자본잉여금

341

주식발행초과금, 감자차익

 

 감자차익

342

자본감소의 경우 감소시킨 자본금의 그액이 주주에게 되돌려 준 회사자본을 초과하는 차액

 

자본조정

주식할인발행차금

381

주식 발행시 주식순발행가액이 액면가액에 미달하는 경우

국고보조금

382

국고보조금

미교부주식배당금

387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상의 주식배당액

감자차손

388

감자를 하면서 자본금의 감소액보다 더 많은 돈을 주주에게 주면 발생되는 차손

투자주식평가손실

389

투자주식평가손실

자기주식처분손실

390

자기주식처분손실

기타포괄손익
누적계

해외사업환사대

391

외화로 표기된 자산을 평가하여 전년대비 평가손실을 반영한 것

해외사업환산차

392

외화로 표기된 자산을 평가하여 전년대비 평가이익을 반영한 것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393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

이익
잉여금

이익준비금

351

이익잉여금의 처분으로 사내에 유보된 금액

 

기업합리화적립금

352

기업합리화 적립금

 

법정적립금임의설정

353

해외시장 개척준비금, 수출손실 준비금 등

 

재무구조개선적립금

354

기업의 재무구조를 개선할 목적으로 적립하는 것

임의적립금

355

이익잉여금의 처분으로 임의로 사내에 유보한 금액

 

 



 

 

반응형

'지표&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형 상장사 30곳 단기 재무위험 체크  (0) 2013.10.15
소비자 물가 상승률  (0) 2013.08.19
장단기 스프레드  (0) 2013.08.19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8. 19. 15:43
반응형

 

[지표설명]

 

■ 소비자물가지수 개념

 

  ° 소비자물가지수

      - 도시가계가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성하는 지수

      - 2010년을 기준(=100)으로 가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0,000 이상인 품목 481개를 대상으로 작성

  

  ° 근원인플레이션

      - 소비자물가 조사품목중 곡물이외의 농산물과 석유류(도시가스 포함) 같은 외부충격 등에 취약한 품목들이 제외되어 물가변동의 기조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지표

 

  ° 생활물가

      - 소득증감에 관계없이 소비지출이 필요한 기본생필품을 대상으로 작성하며, 142개 품목으로 구성

 

■ 의의 및 활용도 :

 

  °  매월 상품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률을 측정하여 물가상승에 따른 소비자부담, 구매력 등 측정에 활용

 

■ 수치해석 방법

 

   °  전월(년)비 상승률 : 전월(년)과 비교한 금월(년)의 물가수준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월비 0.7% 상승은 08.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08.6월 대비 0.7% 상승한 것을 나타냄)

 

   ° 전년동월비 상승률 : 전년도 같은 달과 비교한 금월의 물가수준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년동월비 5.9% 상승은 08.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07.7월 대비 5.9% 상승한 것을 나타냄)

 

   °  전년동기비 상승률 : 금년 1월부터 금월까지의 물가(평균)을 전년 동기간 물가수준(평균)과 비교한 변동률

     (예 : 08년 7월 전년동기비 4.5% 상승은 08년 1월에서 7월까지 소비자물가지수 평균이

            07년 1월에서 7월까지 소비자물가 평균보다 4.5% 상승한 것을 나타냄)

 

[지표해석]

 

■ 최근 소비자물가 동향 및 분석

 

□ ‘13.7월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4%(전월비 0.2%) 상승

 

 ㅇ 금년 2월 이후 5개월 만에 전월대비 상승세로 전환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로는 9개월 연속 1%대의 안정세를 유지

 

 ㅇ 석유류?개인서비스?농축수산물 가격 상승이 전월대비 상승의 주요요인

 

    * 상승률(전월비, %) : (농축수산물) 1.1 (석유류) 1.3 (개인서비스) 0.3   
      기여도(전월비, %p):                  0.09            0.07                  0.09

 

□ 구입빈도와 지출비중이 높아 서민생활과 밀접한 생활물가는 전년동월대비 0.9%(전월비 0.1%) 상승

 

    * 생활물가(전년동월비, %): (‘13.1)0.8 (2)0.8 (3)0.8 (4)0.7 (5)0.2 (6)0.3 (7)0.9

 

 ㅇ 신선식품물가는 신선채소(전월비 3.3%)가 상승하면서 전년동월대비 0.4%(전월비 0.2%) 상승

 

    * 신선식품(전년동월비, %): (’13.1)9.3 (2)7.4 (3)1.0 (4)1.9 (5)△1.9 (6)△2.2 (7)0.4

 

 

□ 물가의 장기적 추세를 보여주는 농산물?석유류제외 근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1.5%(전월비 0.1%)로 안정세 유지

 

    * 근원물가(전년동월비, %): (’13.1)1.2 (2)1.3 (3)1.5 (4)1.4 (5)1.6 (6)1.4 (7)1.5

 

 

□ (농축수산물) 수산물(전월비 △0.4%)은 다소 하락하였으나, 농산물(0.2%)?축산물(4.0%)이 상승하면서 전월대비 1.1% 상승

 

 ㅇ 농산물은 과실(전월비 △0.8%)?곡물(△0.2%) 등은 하락하였으나, 장마 등 기상악화로 채소류(2.2%)가 상승하여 전월대비 0.2% 상승

 

    * 농산물가격(전년동월비, %): (’13.1)8.7 (2)6.7 (3)1.0 (4)2.2 (5)△1.8 (6)△2.2 (7)0.2

                   (전월비, %):                  5.6     1.5   △2.7  △0.8     △3.7     △4.7     0.2

 

 ㅇ 축산물은 여름철 수요증가 등으로 돼지고기(전월비 7.8%), 닭고기(7.0%) 가격이 상승하면서 전월대비 상승세 지속  

 

    * 축산물가격(전년동월비, %): (’13.1)△11.4 (2)△4.1 (3)△5.9 (4)△4.4 (5)△1.5 (6)△5.1 (7)△0.4

                     (전월비, %):                  △0.5     △0.3     △2.7        2.1        2.2        3.3        4.0

 

 ㅇ 수산물은 고등어(전월비 △2.6%)를 중심으로 전월대비 하락세 지속  

 

    * 수산물가격(전년동월비, %): (’13.1)1.7 (2)2.0 (3)1.5 (4)1.0 (5)1.7 (6)2.1 (7)2.2

                     (전월비, %):                 0.8     0.5    0.3     1.0     0.8   △0.9  △0.4

 

□ (공업제품) 석유류(전월비 1.3%)는 상승한 반면, 여자구두(△16.3%) 등의 세일 영향으로 전체로는 전월대비 보합  

 

 ㅇ 석유제품은 휘발유(전월비 1.7%)?경유(1.8%)를 등의 상승으로 전월대비 상승세로 전환

 

    * 석유류(전년동월비, %): (’13.1)△0.6 (2)△1.9 (3)△2.6 (4)△5.3 (5)△7.4 (6)△5.1 (7)0.3

                (전월비, %):                △0.5       1.0        1.4      △1.8     △2.6     △0.1    1.3

 

   ** 국제유가($/배럴): (’13.1)108 (2)112 (3)106 (4)102 (5)100 (6)100 (7)103

       국내휘발유(원/ℓ): (’13.1)1,925 (2)1,953 (3)1,986 (4)1,956 (5)1,902 (6)1,901 (7)1,928

 

 ㅇ 가공식품은 씨리얼식품(4.7%) 등이 상승하였으나, 부침가루(△5.0%), 국수(4.3%) 등이 하락하여 전월대비 보합세 기록

 

    * 가공식품(전년동월비, %): (’13.1)2.3 (2)1.9 (3)2.6 (4)2.6 (5)2.8 (6)2.8 (7)2.7        

                  (전월비, %):                0.4     0.0     0.8  △0.2     0.4      0.1     0.0

 

□ (전기수도가스·공공서비스) 전기수도가스는 전월대비 0.3% 상승하였고, 공공서비스는 치과진료비 하락으로 전월대비 △0.3% 하락

 

    * 전기수도가스(전년동월비, %): (’13.1)4.4 (2)4.2 (3)6.1 (4)5.9 (5)5.9 (6)5.6 (7)3.8

                        (전월비, %):                0.9     0.0     1.8   △0.1     0.1    0.0     0.3

 

    * 공공서비스(전년동월비, %): (’13.1)1.2 (2)1.1 (3)0.8 (4)0.9 (5)0.9 (6)0.7 (7)0.6

                     (전월비, %):                0.7     0.0      0.1     0.0     0.0    0.0   △0.3

 

□ (집세) 전월대비 소폭 상승(0.2%)하였고, 전년동월대비 상승률은  안정세 유지

 

    * 집세(전년동월비, %): (’13.1)3.2 (2)3.1 (3)2.9 (4)2.7 (5)2.7 (6)2.6 (7)2.6

              (전월비, %):              0.2     0.3     0.3     0.2     0.3     0.2     0.2

 

□ (개인서비스) 외식비는 전월대비 보합세이나, 외식제외서비스는 휴가철 여행 관련 서비스요금이 상승하면서 전월대비 상승 전환

 

 ㅇ 외식비는 예년(‘03~’12년, 7월평균 0.3%) 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이며 안정세

 

    * 외식비(전년동월비, %): (’13.1)0.8 (2)1.0 (3)1.4 (4)1.6 (5)1.5 (6)1.6 (7)1.5

               (전월비, %):                0.3     0.4   △0.2    0.3      0.1    0.2     0.0

 

 ㅇ 외식제외 개인서비스는 단체여행비(해외 10.2%, 국내 8.1%), 놀이시설이용료(7.5%), 국제항공료(6.9%) 등이 상승하여 전월대비 0.5% 상승

 

    * 외식제외(전년동월비, %): ('13.1)0.8 (2)0.8 (3)1.5 (4)1.3 (5)1.3 (6)1.3 (7)1.1

                  (전월비, %):                0.5      0.5  △1.2     0.2     0.2  △0.1    0.5

 

  <2013. 7월 소비자물가 동향(%,%p)> 

 

소비자물가지수

 

 

농 축

수산물

 

 

 

공업

제품

 

농산물

석유류

- 가중치

1000.0

77.6

43.5

317.7

53.5

- 전월비

0.2

1.1

0.2

0.0

1.3

  (기여도)

(0.19)

(0.09)

(0.01)

(0.00)

(0.07)

-  전년동월비

1.4

0.4

0.2

1.4

0.3

  (기여도)

(1.42)

(0.03)

(0.01)

(0.45)

(0.02)

 

 

 

전기수도가스

서비스

 

 

집 세

공공서비스

개인서비스

- 가중치

48.3

556.4

91.8

143.7

320.9

- 전월비

0.3

0.2

0.2

△0.3

0.3

  (기여도)

(0.01)

(0.10)

(0.02)

(0.04)

(0.09)

-  전년동월비

3.8

1.3

2.6

0.6

1.2

  (기여도)

(0.19)

(0.74)

(0.24)

(0.08)

(0.39)

 

 

 ■ 국제비교

 <주요국 물가동향>

 

한국

미국

중국

영국

독일

브라질

'13.6

'13.7

전년동월비(%)

1.0

1.4

1.8

2.7

2.9

1.8

7.0

 

  * 미국 · 중국 · 영국 · 독일 · 브라질('13.6월)

 

 

 ■ 향후전망

 

□ ‘13.7월 소비자물가 주요 상승요인은 석유류?개인서비스 요금 ?농축수산물 가격상승

 

 ㅇ 석유류 가격은 중동 정세불안 등으로 국제유가가 오르면서 상승세로 전환(전년동월비 0.3%, 전월비 1.3%)

 

    * 국제유가($/배럴): (’13.1)108 (2)112 (3)106 (4)102 (5)100 (6)100 (7)103

      국내휘발유(원/ℓ): (’13.1)1,925 (2)1,953 (3)1,986 (4)1,956 (5)1,902 (6)1,901 (7)1,928

 

 ㅇ 개인서비스 요금은 휴가철?여행 관련 서비스요금이 상승한 것에 기인(전년동월비 1.2%, 전월비 0.3%)

 

    * 주요품목(전월비, %): 단체여행비(해외 10.2, 국내 8.1) 놀이시설이용료(7.5) 국제항공료(6.9) 콘도이용료(13.4)  

 

 ㅇ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1.1%(전년동월비 0.4%) 상승하였으며, 축산물(4.0%) 가격 상승이 주 요인

 

   - 농산물의 경우, 장마 등의 영향으로 일부 채소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하였으나 양파?감자 하락 등으로 소폭 상승(0.2%)에 그침  

 

    * 농산물(전월비, %):  채소(2.2) 과실(△0.8) 곡물(△0.2)

    * 주요 변동품목(전월비, %): 돼지고기(7.8) 시금치(97.6) 상추(73.9) 닭고기(7.0)양파(△20.4) 감자(△23.1)

 

 ㅇ 전년동월대비 상승폭이 커진 이유는 지난해 7월의 낮은 물가상승(‘12.7월 전월대비 △0.2%)에 따른 기저효과에도 기인(0.2% 상승효과)

 

□ 8월 이후에는 기상여건에 따른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과 국제유가 불확실성 등 물가 불안요인이 상존

 

 ㅇ 장마가 종료되면 그간 크게 상승한 일부 채소가격이 안정세를 보일 수 있으나, 폭염 및 태풍 등 또다른 기상악화에 따른 불안요인이 잠재  

 

 ㅇ 국제유가는 중동지역의 일시적 생산차질이 해소됨에 따라 최근 하락세로 전환되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있음

 

□ 정부는 이러한 물가 불안요인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체계적으로 대응하여 서민생활 안정기반을 강화할 계획

 

 ㅇ 여름철 피서지 물가안정을 위해 특별대책기간(7.15.~8.31) 동안휴가관련 품목을 집중관리하고, 지역상인, 소비자단체 등과 함께 바가지요금 근절 추진

 

 ㅇ 농산물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비축 및 계약재배 물량을 상황에 따라 방출하고, 재해대응 강화 및 피해발생시 신속복구 추진  

 

 ㅇ 아울러 유통구조 개선, 경쟁촉진 등 구조적인 물가안정을 위한 개선 과제들도 차질없이 추진할 계획

 

지표 담당 :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 044-215-2781
최근 갱신일 : 2013-08-01

통계표 

통계표명 : 소비자물가상승률[ 단위 : 전년동월비, % ]

소비자물가상승률 통계표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02월
2013
03월
2013
04월
2013
05월
2013
06월
2013
07월
소비자물가 2.5 4.7 2.8 3.0 4.0 2.2 1.4 1.3 1.2 1.0 1.0 1.4
- 농축수산물 1.9 0.5 6.4 10.0 9.2 3.1 3.3 -0.6 0.3 -1.2 -2.3 0.4
- 공업제품 1.9 7.8 2.5 3.2 4.9 2.9 0.7 0.8 0.2 -0.1 0.4 1.4
- 집세 1.8 2.3 1.6 1.9 4.0 4.1 3.1 2.9 2.7 2.7 2.6 2.6
- 공공서비스 3.1 2.5 2.0 1.2 -0.4 0.5 1.1 0.8 0.9 0.9 0.7 0.6
- 개인서비스 3.1 4.7 2.8 2.2 3.7 1.1 0.9 1.4 1.3 1.3 1.3 1.2
근원물가 2.3 4.3 3.6 1.8 3.2 1.6 1.3 1.5 1.4 1.6 1.4 1.5
생활물가 3.2 5.3 2.1 3.4 4.4 1.6 0.8 0.8 0.7 0.2 0.3 0.9

출처 :  통계청「소비자물가지수」

주)
  • 2010년을 100으로 481개 조사항목을 가중평균하여 매월 지수를 산출 발표

 

 

이용상 유의점

o 소비자물가지수는 물가변동이 도시가구의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로 어느 특정 가구나 계층을 대상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도시 가구의 평균적인 영향을 나타냄
o 체감물가는 소비자들이 일상생활에서 자주 구입하는 품목들의 가격변동을 통해 느끼는 것이므로 개인별 또는 가구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관련용어

  • 생활물가지수 :  소비자들의 체감물가를 설명하기 위해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2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
  • 근원물가지수 :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 전체 소비자물가 481개 품목 중에서 계절적으로 영향받는 농산물과 외부적요인에 크게 영향받는 석유류 등 52개 품목을 제거하고 나머지 429개 품목을 별도로 집계한지수. 물가변동의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근원 인플레이션 지수라 할 수 있음
  •  
출처 :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60&bbs=INDX_001&clas_div=C&rootKey=1.48.0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8. 19. 14:01
반응형
장단기 스프레드

 

안녕하세요 금융시장국 채권시장팀입니다 채권 스프레드는 두 채권간의 수익률 차이를 말하며 단위는 일반적으로 bp(basis point)를 사용합니다.일반적으로 회사채나 은행채, 카드채 등의 스프레드는기준이 되는 국고채(동일 만기) 대비 수익률 차이로 계산합니다.예를 들어 11월 5일 회사채 3년물 AA-의 스프레드는68bp[{4.28%(회사채 3년,AA-,민평기준) - 3.60%(국고채 3년)}*100]로 계산되며 이는 대체로 각 채권의 신용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됩니다.국채 스프레드의 경우도 동일 기간의 다른 채권과의 수익률 차이를 말할 수도 있지만 (다른 국가 국채와의 차이를 통해 우리나라 국채 금리가 다른 나라보다 얼마나 높은지 등을 볼 수도 있을 것입니다)국채 자체를 무위험 수익률로 보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그보다는 기간이 서로 다른 국채 간의 수익률 차이를 통해 각 기간별 채권의 수급상황이나 향후 금리 움직임 등을 분석, 예측하는 데 더 많이 이용됩니다더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채권시장팀(759-4751)으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국채스프레드가 무엇인지 좀 헷갈립니다.> >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출처 :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반응형

'지표&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물가 상승률  (0) 2013.08.19
외국인 증권 투자 현황  (0) 2013.08.19
Recession-Recovery Watch  (0) 2013.08.06
Posted by 스탠스
지표&데이터2013. 8. 19. 13:17
반응형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idx_cd=1086

 

KRX - 주식통계 외국인 지분 현황

 

[지표 설명]

 

■ 외국인 증권투자 정의

 

  ° 금융감독원에 외국인 투자자로 등록한 투자주체들의 주식시장(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에서의 매매 동향

 

■ 외국인 증권투자 의의 및 활용도

 

  ° 증권시장의 3대 주체(외국인, 기관, 개인) 중 하나인 외국인의 국내 증시 영향력이 크므로 그 투자규모와 비중을 시장별로(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시가총액 기준으로 시계열 분석하여 국내 자본시장의 발전에 따른 변화추이를 파악

 

 [지표 해석]

 

■ 외국인 증권투자 동향 분석

 

'13.6월말 외국인 전체 주식보유규모378.6조원으로 지난 5월말 보다 35.3조 감소

 

   ° IMF경제위기 이후 ‘04 까지 외국인 증권투자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되었음

     -  IMF이후 외국인의 투자비중 확대는 주식투자한도 확대(97.12) 및 폐지(98.5)에 따른 것임

   °  이후 외국인 증권투자비중은 감소 추세에 있으나, 최근 비중 확대

     -  '04년 이후 국내 기관투자자들이 적립식 펀드 등을 통한 자금유입으로 적극적인 매수에 나서고 외국인은 차익실현에 나서면서 05년부터 외국인 비중은 감소세를 지속중이나, 08년 금융위기 이후  상대적 안전성 선호와 성장 가능성으로 비중 확대

         * 외국인 보유비중 : ('03)41.2 % →('04)40.5→('05)37.2→('06)35.1→('07)32.7→('08)27.2 →('09)30.5 →('10)31.2→('11)30.6 →('12)32.5→('13.6말)31.1

     -  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심화에 따른 Deleverage가 지속되어  외국인 매도세 역시 지속되었으나, 최근 재유입

   * 종합주가지수 : ('02말)627.6→('03말)810.7→('04말)895.9→('05말)1,379.4→('06말)1,434.5→('07말)1,897.1

                          →('08말)1,124.47  →('09말)1,682.8  →('10말)2,051.0 → ('11말) 1,825.74 → ('12말) 1997.05

'13.6월말 현재 외국인 전체 주식 보유규모378.6조원으로 지난 5월말 보다 35.3조원 감소

   * '13.4월말 399.4조원 → 5월말 413.9조원 → 6월말 378.6조원

 - 국가별 보유규모는 미국 146.9조원(외국인 전체 보유액의 38.8%), 영국 35.9조원(9.5%), 룩셈부르크 25.2조원(6.7%)

  * '13.6월 유럽계 전체 : 117.4조원(외국인 전체의 31.0%, '13.5월 129.1조원)

지표 담당 : 금융위원회, 금융시장분석과, 02-2156-9737
최근 갱신일 : 2013-07-30

통계표 

통계표명 : 외국인 증권투자 현황[ 단위 : 조원, % ]

외국인 증권투자 현황 통계표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02월
2013
03월
2013
04월
2013
05월
2013
06월
2013
07월
보유금액 외국인 보유금액 270.2 272.8 344.2 169.6 296.8 386.2 350.9 410.3 420.5 412.2 399.3 413.7 377.9 385.3
유가증권시장 260.6 262.3 325.7 165.8 290.0 376.3 342.5 401.3 410.4 401.4 388.5 402.1 367.1 373.1
코스닥시장 9.6 10.6 18.5 3.8 6.8 10.0 8.4 9.0 10.1 10.8 10.8 11.6 10.7 12.2
시가총액대비(%) 외국인 보유금액 37.2 35.1 32.7 27.2 30.5 31.2 30.6 32.5 32.5 32.1 31.6 31.9 31.4 31.0
유가증권시장 39.8 37.2 34.2 28.7 32.7 33.0 32.3 34.8 35.0 34.6 34.2 34.5 33.9 33.5
코스닥시장 13.6 14.6 18.5 8.2 7.9 10.2 7.9 8.2 8.5 8.8 8.5 8.8

 

  • 출처 : 금융감독원「외국인 투자자의 증권매매 동향」, 한국거래소>주식통계>외국인 보유 현황
  • 이용상 유의점

    o 외국인 보유금액은 증권시장의 시황에 따라 크게 변동하므로 외국인 보유금액이 증가하였다고 해서 반드시 시가총액대비 외국인 비중이 증가하는 것은 아님

    관련용어

    • 외국인 보유금액 :  금융감독원에 투자 등록한 외국인이 취득한 상장 주식의 기준일 현재 시가로 평가한 금액
    • 시가총액 :  전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으로 주식시장이 어느 정도 규모를 가지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

    작성방법

    • 투자등록한 외국인의 보유주식의 조사
    반응형

    '지표&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자 물가 상승률  (0) 2013.08.19
    장단기 스프레드  (0) 2013.08.19
    Recession-Recovery Watch  (0) 2013.08.06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