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블로그2013. 9. 17. 16:41
반응형

금융위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약 30년동안 미국을 비롯한 전세계 경제를 한마디로 표현할 수 있는 차트를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바로 아래의 챠트입니다. 30년만기 미 국채의 이자율을 30년동안 보여주는 챠트입니다.

 

80년대 초부터 최근까지 30년동안 이자율을 보여주고 있는 챠트인데요, 30년간 2년마다 0.5%씩 금리가 하락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물론 중간 중간에 금리가 상승하기도 했지만, 결국 추세는 반전시키지 못했습니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요?

그것은 낮아진 이자율 만큼 부채가 늘어난 것을 말하는 것이라 생각합니다. 30년전 30년만기 국채금리는 14%였고, 현재는 4%대입니다. 미국 경제에 문제가 있을 때마다 기준 금리를 내려왔고, 이렇게 내린 금리는 결국 경제 주체들이 계속 빚을 낼 수 있게 만들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제는 더이상 금리를 내릴 수 있는 여력이 없습니다.

 

미국 경제의 70%를 감당했던 것이 소비였습니다. 이런 소비를 가능하게 했던 것은 결국 저렇게 30년동안 금리를 계속 내려서 빚의 부담을 줄여줬던 것과 저금리로 풀렸던 돈에 의해 부풀어진 자산시장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제 기준금리를 더이상 낮출수 없다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더이상 빚의 부담을 낮게 해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금리를 더이상 낮출 수 없을 때 등장한 것은 정부의 빚부담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정부는 생산의 주체가 아니고 오로지 소비만 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는 것이지요.

 

금리를 더이상 낮출 수 없는 상황은 위 챠트와 같이 가계부채(신용)의 축소를 바라만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대공황이후 가계 신용이 이렇게 줄고 있는 모습은 60년만에 처음 겪게 된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미국 정부가 경기부양책으로 택했던 정책들을 보면 결국 저렇게 줄어드는 신용을 살려보자는 것이었지만, 중고차를 사거나, 주택을 산다고 해서 지원해줬던 세금인센티브에도 불구하고 디레버리지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신용의 축소는 소비위주의 경제에게는 마이너스의 역할을 하겠지만, 전체적인 상황을 본다면 매우 긍정적인 모습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줄어드는 가계신용으로 경제는 아직 회복되기에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위 챠트에서 보듯이 국가경제의 건전성은 개선되고 있습니다. GDP대비 가계부채의 비율이 위기 전 100%에 달했었지만, 어느새 70%까지 낮춰져 미국 경제가 다시 자생력을 회복하기까지 어느정도 좋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빚은 줄어들었지만, 활력을 찾기위한 경제 자생력은 점점 개선되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아직 60년 평균비율인 53%대까지 오기까지는 좀더 시간이 필요하겠지만...

 

 

그런데 한국의 가계부채의 증가세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지난 9월달 잠깐 줄어든 한달을 빼고, 역시 10월에도 빚은 계속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저런 빚을 감당하기 위해 소득이 늘어나고 있는 것 같지도 않습니다.

 

 

어제 발표된 통계청의 자료에서도 가계의 실질 소득은 계속 줄어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계부채가 증가하듯이 가계 지출은 계속 확대되고 있습니다. 실물 경기와 별 관련없이 자산시장의 반짝상승에 의한 부의 효과(wealth effect)라고 표현해야 할까요? 정말 한국의 자산,소비 시장은 전세계 경제와 디커플링을 보여주는 것일까요?

 

한국은 전세계 GDP중에서 약 1%를 차지합니다. 지난 주에는 무역의존도가 GDP의 90%를 넘었다는 기사도 나왔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디커플링에 대한 꿈은 잠시 접으시고, 허리띠를 졸라매고, 빚을 내고 싶을때 심호흡 한번 하고 참아보시고, 그나마 현재 가지고 있는 빚을 갚는게 더 좋은 선택일 것 같습니다.

날씨가 무척 쌀쌀합니다. 모두들 감기조심하세요~

 

상승미소드림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스탠스 칼럼2013. 8. 20. 13:39
반응형

상대방의 토론에 대한 내용을 올려도 될지 여쭈어보고 올리고 혹시나 시장상황에 대한 나의 행동과 행동을 기록하기 위해 넷상에 개제합니다.

 

Q)내가 시장을 보는 눈이 안좋아서 도우미가 필요해서 쫌 가르쳐줘..이번 4월달 시장 전망 어떨까?

A)점차회복?

내 생각은 항상 새로운 악재가 없으면 이미 경기는 바닥 쳤다고 생각하고 있어 

 

Q)올해는 쫌 자산시장의 선행성을 가지면서 실물경제도 쫌 나아 질 것 같은 관점? 그렇다면 만약 여유자금을 투자를 한다면 투자자산 비중에 주식편입을 늘리겠네?

A)그런 관점이지 ㅋ

여유자금이 있다면 가능한 투자를 할거고 ㅎ

내 생각은 계속 이런거였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에서 비롯된 위기 때문에

모기지 시장이나 파생상품시장이 흔들리면서 작년 9월에 완전히 거품이 꺼졌고

그 여파가 지금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는것 같은데

그런다면 그 영향으로 새로운 악재가 터지지 않는다면

이제는 슬슬 회복해가는 시점 아닐까

혹은 L형 장기 불황일 가능성도 있지만

 

Q)좋은 지적이야

통상적인 거시 경제보단 투자시장 특히 종합지수의 U턴이 먼저 동반하는게 금융장세나 강세장을 만드는 전제 조건이 되는데..

나는 한가지 걱정되는게 이러한 상승이 단지 되돌림 반등.. 의미 없는 기술적인 반등,하락에 대한 조정일지 아닌지 아직 의아한게 내 논점이다..ㅋ 왜냐하면 아직 실적의 악재가 남아있는것같다.. G20이나 세계적인 경기 지원 정책때문에 상승한다는건 아니제? 니가 생각하는건 지난 날의 외부 쇼크,즉 서브프라임 부실 문제의 충격이 끝난건 9월달이고 이후에 파생되는 쇼크에 여진이 지금까지 주식시장을 흔들었고 지금은 일정정도 여진이 가라 앉았기 때문에 이제 바닥을 딪고 일어서는 일이 남아있기 때문에 상승한다는거제?

물론 시장이 그 답을 알고 있지만

A)
응 ㅋ 니가 마지막에 말했던게 내 생각이야

이제는 여진만 남아있다고 생각해

그 여진때문에 쌍둥이 빌딩같은 거대한 빌딩이 또 무너지면 그타격으로 옆건물도 무너지고

또 재난 터지겠지만

보통은 여진때문에 건물이 또 무너지고 안그러자너

여진을 견뎌가면서 다시 도시를 재건하는과정? 이라고 생각한다

그니깐 지금 시장이 잠깐의 기술적인 반등인지 아닌지는 솔직히 난 상관없어

결국 바닥은 거의 다 찍어갈 것 같으니깐 장기적인 관점에서보면 상승국면이 다가오고 있잖어

 

Q)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나도 생각이 일치하는 점도 있는데..

우리가 생각하는 장기적인 예를 들면 1997년 외환위기의 IMF 큰 바닥의 과정에서 2005년 매도 했을 경우 900%정도 높은 수익을 실현 할 수 있었는데..
 그 때 주식을 산사람들은 진짜 공포의 칼날을 잡을 용기로 들어갔잖아.. 그리고 주식을 매수한다는 자체가 공포였는데 지금은 약간은 다르잖아? 음... 우리같은 사람들이 주식에 매수할수 있다는 시기라면 아직 지상에 있는 우리가 아닐까? 아직 바닥이 다 아니라는거지... 지난 10월달 보면 바닥 확인하다가 폭삭 앉아 버렸잖아 ㅋ
 요약하자면, 우리가 선뜻 매수에 대해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바닥이 아니라는 반증이 될 수 도 있지 않겠나?

A)
그니깐 조심스럽게 사는거지 ㅎ

나같은 경우에는 투자자산편입비중이 지금 15%인데

앞으로 20%정도까지 끌어올릴생각이야

어차피 나머지는 모두 은행적금에 들어갈테니깐

그정도 위험은 관리하의 위험이라고 생각해 ㅎ

흠... 내 사정말고 일반적인 사정에서 보자면...

물론 그런 위험 있을 수 있지 충분히

솔직히 시장을 완전히 예측한다는건 불가능하잔냐 

 

 


 

 내가 생각 하는 양자의 결론 : 지난 서브프라임 쇼크는 2008년 11월로 마무리된 것으로 치환한다.-시장은 예측 할 수 없으므로 단정짓기엔 이른감이 있으므로- 그렇다면 큰 쇼크는 2008년 11월에 마무리 되었다. 2009년 3월까지 이러한 여진이 발생하여 GM,크라이슬러와 같은 유수의 기업을 파산신청을 내도록 압박했으나 시장은 강진에 견뎌낸만큼 여진에는 흔들렸으나 무너지지 않았다. 만약 이 시점에서 여유자금이 있다면 주식시장에 대한 편입비중을 점진적으로 늘려가는 것이 유효해 보인다. 또한 주식시장은 실물경제에 선행적인 지표이므로 지금부터 매집한다면 일정수익을 거두고 있을때 경기가 회복되어 현실 매입 국면의 시기가 올 때 추가로 매입할 수 있는 심적인 여유가 생긴다. 그러나 이번 회복이 정상적인 신호가 아닐수 있다는 전제도 동반되어야 한다. 이유는 IMF국면에선 엄청난 공포가 매수자앞을 짓눌렀던 것과 비교하면 지금은 시장에서 용기를 주는 형국이다. 자신에게 적정한 위험 한도 내에서의 충분한 매수는 불투명한 시장의 흐름을 맡길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줄 것으로 사료된다.

ps: 인터뷰에 응해주신 익명의 지우에게 감사와 영광을 돌립니다. 또한 미래에 좀더 현명하게 사용하도록 허락 해주신 점 또한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