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nvestor-js.blogspot.com/2019/09/feat.html?m=1
'배움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건희 회장의 명언들 (0) | 2020.10.25 |
---|---|
워드 단축키 (0) | 2020.09.23 |
<쾌락적 편집 가설(Hedonic Editing Hypothesis)> (0) | 2018.03.21 |
http://investor-js.blogspot.com/2019/09/feat.html?m=1
이건희 회장의 명언들 (0) | 2020.10.25 |
---|---|
워드 단축키 (0) | 2020.09.23 |
<쾌락적 편집 가설(Hedonic Editing Hypothesis)> (0) | 2018.03.21 |
이건희 회장의 명언들
01. 남의 잘 됨을 축복하라. 그 축복이 메아리처럼 나를 향해 돌아온다.
02. 항상 기뻐하라. 그래야 기뻐할일이 줄줄이 따라온다.
03. 부자처럼 생각하고 부자처럼 행동하라. 나도 모르는 사이에 부자가 되어있다.
04. 부자옆에 줄을 서라. 산삼밭에 가야 산삼을 캘 수 있다.
05. 힘들어도 웃어라. 절대자도 웃는사람을 좋아한다.
06. 자꾸 막히는 것은 우선멈춤 신호이다. 멈춘 다음 정비하고 출발하라.
07. 써야할 곳 안써도 좋을 곳을 분간하라. 판단이 흐리면 낭패가 따른다.
08. 들어온 떡만 먹으려 말라. 떡이 없으면 나가서 만들어라.
09. 기도하고 행동하라. 기도와 행동은 앞바퀴와 뒷바퀴이다.
10. 자신의 영혼을 위해 투자하라. 투명한 영혼은 천년 앞을 내다본다.
11. 마음의 무게를 가볍게 하라. 마음이 무거우면 세상이 무겁다.
12. 돈은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돈 앞에서 진실하라
13. 씨 돈은 쓰지말고 아껴두어라. 씨 돈은 새끼를 치는 종자돈이다.
14. 샘물은 퍼낼수록 맑은물이 솟아난다. 아낌없이 베풀어라.
15. 헌돈은 새돈으로 바꿔 사용하라. 새돈은 충성심을 보여준다
16. 적극적인 언어를 사용하라. 부정적인 언어는 복나가는 언어이다.
17. 깨진 독에 물을 붓지 말라. 새는 구멍을 막은 다음 물을 부어라.
18. 요행의 유혹에 넘어 가지 말라. 요행은 불행의 안내자이다.
19. 자신감을 높여라. 기가 살아야 운이 산다.
20. 장사꾼이 되지 말라. 경영자가 되면 보는 것이 다르다
21. 검약에 앞장서라. 약중에 으뜸은 검약이다.
22. 서두르지 말라. 급히 먹은 밥은 체하기 마련이다.
23. 세상에 우연은 없다. 한번 맺은 인연을 소중히 하라.
24. 돈 많은 사람을 부러워 말라. 그가 사는 법을 배우도록 하라.
25. 본전 생각을 하지 말라. 손해가 이익을 끌고 온다.
26. 돈을 내 맘대로 쓰지말라. 돈에게 물어보고 사용하라.
27. 돈을 애인처럼 사랑하라. 사랑은 기적을 보여준다.
28. 말이 씨앗이다. 좋은 종자를 심어라.
29. 기회는 눈깜빡하는 사이에 지나간다. 순발력을 키워라.
30. 작은것 탐내다가 큰것을 잃는다.무엇이 큰 것인지를 판단하라.
31. 돌다리만 두드리지 말라. 그 사이에 남들은 결승점에 가있다.
32. 느낌을 소중히 하라. 느낌은 신의 목소리이다.
33. 인색하지 말라. 인색한 사람에게는 돈도 야박하게 대한다.
34. 돈의 노예로 살지 말라. 돈의 주인으로 기쁘게 살아라.
35. 불경기에도 돈은 살아서 숨쉰다. 돈의 숨소리에 귀를 기울여라.
36. 절망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말라. 희망만이 희망을 키운다.
37. 더운밥 찬밥 가리지말라. 뱃속에 들어가면 찬밥도 더운밥이 된다.
한국형 가지투자 (0) | 2021.04.04 |
---|---|
워드 단축키 (0) | 2020.09.23 |
<쾌락적 편집 가설(Hedonic Editing Hypothesis)> (0) | 2018.03.21 |
< 문서 작업 >
새 문서 작성 |
Ctrl + N |
문서 열기 |
Ctrl + O |
문서 닫기 |
Ctrl + W |
문서 분할 |
Ctrl + Alt + S |
문서 저장 |
Ctrl + S |
워드 종료 |
Alt + F4 |
문자열, 서식, 특수 항목 찾기 |
Ctrl + F |
찾기 반복 |
Ctrl + Alt + Y |
문자열, 특정 서식, 특수 항목 바꾸기 |
Ctrl + H |
문서 찾기 |
Ctrl + Alt + Home |
작업 취소 |
Esc |
작업 실행 취소 |
Ctrl + Z |
작업 재실행 또는 반복 |
Ctrl + Y |
쪽 모양 보기로 전환 |
Ctrl + Alt + P |
개요 보기로 전환 |
Ctrl + Alt + O |
기본 보기로 전환 |
Ctrl + Alt + N |
< 문자 서식 >
글꼴 바꾸기 |
Ctrl + Shift + F |
글꼴 크기 바꾸기 |
Ctrl + Shift + P |
글꼴 크기 늘임 |
Ctrl + Shift + > |
글꼴 크기 줄임 |
Ctrl + Shift + < |
글꼴 크기 1포인트 늘임 |
Ctrl + ] |
글꼴 크기 1포인트 줄임 |
Ctrl + [ |
문자 서식 바꾸기 |
Ctrl + D |
대/소문자 바꾸기 |
Shift + F3 |
모두 대소문자로 설정 |
Ctrl + Shift + A |
단어만(공백 제외) 밑줄 설정 |
Ctrl + Shift + W |
문자열에 이중 밑줄 설정 |
Ctrl + Shift + D |
문자열 숨김 서식 설정 |
Ctrl + Shift + H |
작은 대문자로 설정 |
Ctrl + Shift + K |
아래 첨자 설정(자동 간격) |
Ctrl + = |
위 첨자 설정(자동 간격) |
Ctrl + Shift + + |
선택 범위를 기호 글꼴로 바꾸기 |
Ctrl + Shift + Q |
출력되지 않는 글자 표시 |
Ctrl + Shift + * |
문자 서식 검토 |
Shift + F1 |
서식 복사 |
Ctrl + Shift + C |
서식 붙여넣기 |
Ctrl + Shift + V |
1줄 간격 |
Ctrl + 1 |
2줄 간격 |
Ctrl + 2 |
1.5줄 간격 |
Ctrl + 5 |
단락 앞에 1줄 간격 추가/삭제 |
Ctrl + 0 |
가운데 맞춤 |
Ctrl + E |
양쪽 맞춤 |
Ctrl + J |
왼쪽 맞춤 |
Ctrl + L |
오른쪽 맞춤 |
Ctrl + R |
왼쪽에서 단락 밀어 맞춤 |
Ctrl + M |
왼쪽에서 단락 밀어 맞춤 해제 |
Ctrl + Shift + M |
첫 줄 밀어 맞춤 지정 |
Ctrl + T |
첫 줄 밀어 맞춤 해제 |
Ctrl + Shift + T |
단락 서식 삭제 |
Ctrl + Q |
[자동 서식] 시작 |
Ctrl + Alt + K |
메모 삽입 |
Ctrl + Alt + M |
메모 시작 위치로 이동 |
Ctrl + Home |
메모 끝 부분으로 이동 |
Ctrl + End |
< 문서 인쇄 >
문서 인쇄 |
Ctrl + P |
미리 보기로 전환 |
Ctrl + Alt + I |
미리 보기에서 확대 시 본문 안에서의 이동 |
←, →, ↑, ↓ |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한 쪽씩 이동 |
Page Up, Page Down |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첫 쪽으로 이동 |
Ctrl + Home |
미리 보기에서 축소 시 마지막 쪽으로 이동 |
Ctrl + End |
< 개요 >
단락 수준 올리기 |
Alt + Shift + ← |
단락 수준 내리기 |
Alt + Shift + → |
본문으로 내리기 |
Ctrl + Shift + N |
선택된 단락을 위로 이동 |
Alt + Shift + ↑ |
선택된 단락을 아래로 이동 |
Alt + Shift + ↓ |
제목 아래의 문자열 확장 |
Alt + Shift + + |
제목 아래의 문자열 축소 |
Alt + Shift + - |
글꼴 서식 표시/숨기기 |
/ |
본문의 첫 행이나 본문 모두 표시 |
Alt + Shift + L |
제목 1 유형으로 설정된 모든 제목 표시 |
Alt + Shift + 1 |
제목 n 유형까지 설정된 모든 제목 표시 |
Alt + Shift + N |
< 문자열 편집 / 이동 >
왼쪽으로 한 글자 삭제 |
Back Space |
왼쪽으로 한 단어 삭제 |
Ctrl + Back Space |
오른쪽으로 한 글자 삭제 |
Delete |
오른쪽으로 한 단어 삭제 |
Ctrl + Delete |
선택한 문자열을 클립보드에 잘라내기 |
Ctrl + X |
마지막 작업 실행 취소 |
Ctrl + Z |
< 문자열 복사 / 이동 >
문자열이나 그래픽 복사 |
Ctrl + C |
상용구 만들기 |
Alt + F3 |
클립보드 내용 붙여넣기 |
Ctrl + V |
스파이크 내용 붙여넣기 |
Ctrl + Shift + F3 |
< 특수 문자 >
필드 |
Ctrl + F9 |
상용구 |
Enter |
줄 구분 |
Shift + Enter |
쪽 구분 |
Ctrl + Enter |
열 구분 |
Ctrl + Shift + Enter |
사용자 지정 하이픈 |
Ctrl + - |
줄바꿈하지 않는 하이픈 |
Ctrl + Shift + - |
줄바꿈하지 않는 공백 |
Ctrl + Shift + Space |
저작권 기호 |
Ctrl + Alt + C |
등록 상표 기호 |
Ctrl + Alt + R |
상표 기호 |
Ctrl + Alt + T |
생략 기호 |
Ctrl + Alt + . |
< 삽입 포인트 >
한 글자 왼쪽으로 |
← |
한 글자 오른쪽으로 |
→ |
한 단어 왼쪽으로 |
Ctrl + ← |
한 단어 오른쪽으로 |
Ctrl + → |
한 단락 위로 |
Ctrl + ↑ |
한 단락 아래로 |
Ctrl + ↓ |
한 셀 왼쪽으로(표) |
Shift + Tab |
한 셀 오른쪽으로(표) |
Tab |
한 줄 위로 |
↑ |
한 줄 아래로 |
↓ |
줄 끝으로 |
End |
줄 처음으로 |
Home |
창의 맨 위로 |
Ctrl + Alt + Page Up |
창의 맨 아래로 |
Ctrl + Alt + Page Down |
한 하면 위로(이동) |
Page Up |
한 화면 아래로(이동) |
Page Down |
다음 쪽 맨 위로 |
Ctrl + Page Up |
이전 쪽 맨 위로 |
Ctrl + Page Down |
문서의 끝으로 |
Ctrl + End |
문서의 시작 부분으로 |
Ctrl + Home |
이전 변경 사항으로 |
Shift + F5 |
이건희 회장의 명언들 (0) | 2020.10.25 |
---|---|
<쾌락적 편집 가설(Hedonic Editing Hypothesis)> (0) | 2018.03.21 |
변명에 대해 (0) | 2018.03.12 |
워드 단축키 (0) | 2020.09.23 |
---|---|
변명에 대해 (0) | 2018.03.12 |
미네르바 글 모음 출처 및 참고 자료 (0) | 2018.03.11 |
<쾌락적 편집 가설(Hedonic Editing Hypothesis)> (0) | 2018.03.21 |
---|---|
미네르바 글 모음 출처 및 참고 자료 (0) | 2018.03.11 |
김동연 “고가 1주택자도 보유세 인상 검토” (0) | 2018.01.23 |
변명에 대해 (0) | 2018.03.12 |
---|---|
김동연 “고가 1주택자도 보유세 인상 검토” (0) | 2018.01.23 |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에서 (0) | 2018.01.18 |
김동연 “고가 1주택자도 보유세 인상 검토”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28930.html#csidx0212c75f4f8889091b03d75b88bfb68
미네르바 글 모음 출처 및 참고 자료 (0) | 2018.03.11 |
---|---|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에서 (0) | 2018.01.18 |
초심자의 행운 (0) | 2018.01.14 |
복잡적응계를 연구하는 이런 선구적인 과학자들로부터 우리는 인류라고 불리는 위대한 사회 시스템에 고나한, 나아가 주식시장 같은 구체적인 시스템의 작동방식에 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복잡적응계의 첫 번째 특징은 시스템이 형성되는 괒어에서 발견된다. 사람들이 어떻게 함께 모여 복잡계(사회적 단위)를 형성하는가, 나아가 스스로를 질서있게 조직화하는가? 이 질문은 모든 사회시스템의 행동양식을 묘사할 공통의 틀을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설로 이어진다. 바로 자기조직화(self-organization) 이론이다.
'자기조직화'라는 용어는 명령을 내리는 중앙 권력 또는 사전계획에 따라 다른 행위자들의 행동을 강요하는 어떤 요소 없이도 시스템에서 저절로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화학, 생물학,수학,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자기조직화를 관찰할 수 있다. 인적 네트워크나 사회에서도 나타난다.
p.117 4_사회학에서
김동연 “고가 1주택자도 보유세 인상 검토” (0) | 2018.01.23 |
---|---|
초심자의 행운 (0) | 2018.01.14 |
채권별 주말 경과 이자 (0) | 2018.01.10 |
현명한 투자자의 인문학에서 (0) | 2018.01.18 |
---|---|
채권별 주말 경과 이자 (0) | 2018.01.10 |
남자 나이 마흔에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들 (0) | 2016.01.11 |
★국고, 통안, 예보, 국주
1) 토요일 만기의 경우 - 금요일날 원금 및 이자 지금 됨. 즉, 이자 손해 없음(더 좋은거).
2) 일요일 만기의 경우 - 월요일날 원금 및 이자 지급 됨. 즉, 하루 이자 손해
★은행채
1) 토요일 만기의 경우 - 월요일날 원금 및 이자 지급 됨. 이자는 챙겨주기 때문에 손해 없음.
2) 일요일 만기의 경우 - 월요일날 원금 및 이자 지급 됨. 이자는 챙겨줌
※은행별로 휴무이자 금리는 다름
★회사채, 공사채, 카드채
1) 토요일 만기의 경우 - 월요일날 원금 및 이자 지급 됨. 즉, 이틀의 이자 손해.
2) 일요일 만기의 경우 - 월요일날 원금 및 이자 지급 됨. 즉, 하루 이자 손해.
초심자의 행운 (0) | 2018.01.14 |
---|---|
남자 나이 마흔에 착각하지 말아야 할 것들 (0) | 2016.01.11 |
연예인의 과거직업 (0) | 2015.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