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노 칼럼2013. 8. 20. 15:01
반응형

018 [세이노의 부자아빠 만들기] 사탕발림에 속지 말라

 

금융상품을 고를 때는 우선 이름에 미혹되지 말라. 금융상품은 돈을 넣고 수익을 얻거나 보험처럼 보장을 받는 것일 뿐이다. 당신이 따져야 할 것은 ‘세후 실제 수익은 얼마인가, 운용결과에 따라 수익이 변하는가, 그 운용은 누가 하는가, 절세상품인가, 어떤 법의 보호를 받는가, 대출조건은 무엇인가’ 등이다.

 

둘째, 세금우대라는 말에 지나치게 끌리지 말라. 1000만원이 원금이고 연리 6.5%인 경우 세금우대는 단지 39000원 더 받는다. 하지만 비과세인 경우에는 연 1% 정도 더 받는다. 이자 1% 더 받아 부자가 되는 사람은 없지만 주택관련 상품이나 근로자저축 같이 정부의 입김이 들어간 비과세상품은 기본 이율 자체가 더 높기도 하다.

 

셋째, 금융종합과세 대상자에게 세금우대는 무의미하다. 나중에 합산처리된다. 분리과세상품은 오히려 손해일 경우도 있다. 국세청에 통보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라. 과세 근거가 없으면 세금을 내지 않는다. 세금을 낼 것이 있다면 모두 다 내고 마음 편하게 사는 것이 현명하다.

 

넷째, 소득공제나 세액공제에 주목하고 실제로 얻게 되는 수익을 꼼꼼히 계산하라. 그리고 그 최대 공제액을 받을 수 있는 최저한도를 찾아내 그 금액만큼만 가입하라. 주부, 학생, 표준소득률 적용 자영업자 등은 공제 혜택을 받지 못한다. 신개인연금보험처럼 처음에는 소득공제가 됐다가 나중에 연금소득의 10%를 세금으로 내야 하는 상품도 있다.

 

다섯째, 주식과 부동산을 제외하고 어떤 금융상품에 돈이 몰린다는 것은 곧 수익이 떨어진다는 뜻으로 해석하라. 나는 채권 관련 상품의 수익률이 좋다고 알려지던 작년 말에 채권상품에 전혀 가입하지 않았다. 어떤 상품이 좋다고 소문이 나면 돈이 조만간 몰린다는 뜻이고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수익률은 낮아질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여섯째, 돌발사태에 대비하라. 내 경험상 언제나 불행은 자기 친구들을 데리고 온다. 즉 무슨 불상사가 생기면 얼마 안가 또 나쁜 일이 생기더라는 말이다. 그러므로 보험에 가입하라. 이때 보상조건을 반드시 철저하게 확인하라. ‘시력이 상실되면 보상을 한다’는 말은 ‘한쪽 눈이 희미하게라도 보이면 보상을 안한다’는 말일 수도 있다.

 

일곱째, 상속을 염두에 두지 않는 한 장기 투자는 신중하게 선택하라. 나는 5년 이상의 장기투자는 단 한번도 시도하지 않았다. 죽을 때가 돼서야 부자가 되고 싶지는 않았고 삶은 언제라도 뒤집어질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여덟째, 목돈을 예치할 때는 내 경험상 12월 마지막 주에 하는 게 유리했다. 각 영업소별로 실적경쟁이 치열한 시기이기 때문에 플러스 알파를 받을 수도 있다. 금융기관의 약점을 파고들어라.

 

고백하건대 나같은 사람을 금융기관에서는 별로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내 이득만 챙기지 자기들 이득은 생각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내 이득을 극대화하는 것이 재테크의 본질 아닌가.


 여러 시장참여자들을 본다. 그 중에서 두가지로 분류하라면 투자를 비용으로 계상하는 부류와 투자를 수입으로 승화시키는 부류다. 내가 보는 금융기관과 금융소비자(고객)은 파트너쉽의 관계보다 경쟁관계와 대결관계에 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좀 더 많은 수수료 수입이나 보수를 챙기는 것이 기업의 핵심적 목표이고, 고객 또한 자신의 자산을 안전하고 높은 수익을 목표로하고 있다. 즉, 금융기관의 수익성은 수수료 수입과 보수에서 결정난다. 이것은 고객의 자산의 부분을 때어서 취함으로서 얻게되는 이득이다. 종종 금융기관을 서비스 기관, 나를 위해 돈을 벌어주는 기관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런 사람은 사치스러울 뿐 아니라 가난하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투자를 한다고 하지만 비용으로 계상되는 것이고 비용이 수익화 되기 전에 못참고 소문을 듣고 다른 금융상품으로 갈아타는 것이 태반이다.

 

 투자를 수입으로 승화시키는 간단한 투자분석 툴이 위에 몇가지 있다. 일반인들이 흔히 말하는 재테크도 투자분석의 실제적인 노하우를 정리하고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투자분석 툴과 재테크는 서로 상의한 측면이 있다. 재테크는 단순한 기준이 아니라 아주 테크니컬 적인 측면이 많다. 흔히들 기본을 지켜야된다고 하지만 기본보다는 기술을 중요시하는 측면이 강하다. 그래서 커다란 풍파에 흔들리거나 커다란 손실을 보고 좌절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세이노의 몇가지 조언처럼 자기자산을 총괄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몇가지 명제만 지켜나가더라도 재테크 정보를 갈구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서 주식/부동산을 제외한 금융상품에 사람들이 몰린다는 말은 수익률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필자는 주식/부동산도 사람이 몰리면 반대로 가려는 본능이 있다.이 하나의 글귀에도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이 들어있다. 일정한 자원을 가운데 놓고 벌이는 전쟁중에서 일반적인 전략을 구사하는 것보다 허점을 노리는 공격적 전략이 효과적인 것처럼, 금융시장에서도 사람이 많이 모르고 싫어하는 투자자산은 미래에 상당한 수익이 되어서 돌아온다.

 

 물론, 통장하나 만들러가서 10가지가 넘는 규칙을 엃매인다는 것을 싫어하고 혐오하는 사람이 있다. '자기가 자기돈으로 투자하겠다는데 왜 자신의 투자감각을 무시하냐고 묻는다.'그런 사람들의 가까운 미래를 안다. 대부분 그런 사람들은 투자를 해서 자신이 가난해졌다고 탓할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중요한것은 그런 사람들을 말려선 안된다. 왜냐하면 그들이 있기에 금융시장은 상대적인 수익을 내손으로 구할 수 있는 명백한 증거이며 수익동력이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