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할인 종목을 찾아내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평가에 의한 방법인데, 이는 주로 미래 이익을 예상한 후 이를 특정 종목의 적당한 요소에 곱하는 방법이다. 만약 결과치가 시장가를 충분히 상회한다면(그리고 투자자가 사용한 기법을 신뢰한다면) 그 주식은 할인종목이라고 부를 수 있다. 둘째는 개인소유주에게 있어서의 기업의 가치이다. 이 가치는 때때로 미래의 기대수익에 의해 정해지기도 한다. 이 경우 결과는 첫번째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순유동자산 또는 운전자본을 특별히 강조하여 자산의 실현 가능한 가치에 더 많은 비중을 두어야 한다. 이 같은 기준들로 평가할 경우, 시장 지수가 저점에 있을 때에는 많은 주식들이 할인 종목이다.(전형적인 사례로서 1941년 GM 사의 경우 30이하로 거래되었는데 1971년 기준으로는 겨우 5에 거래된 것과 같다. 이 회사는 주당순이익이 4달러를 상회했으며 주당 3.5달러 또는그 이상의 배당을 지급했다.) 현재의 이익과 단기 전망이 모두 빈약할 수 도 있지만 평균적인 미래상태에 대한 냉정한 평가는 현재가격을 훨씬 상회하는 가치를 알려줄 것이다. 따라서 침체장에서도 용기를 찾게 해주는 지혜는 경험만이 아니라, 가치분석기법의 올바를 적용을 통해서도 가능한 것이다.
시장의 변덕은 반복적으로 할인 상황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장수준에서 많은 개별적인 할인종목이 존재한다. 시장은 침소봉대하ㅣ를 좋아해서 작은 흙덩이를 산으로 만들거나 일상적인 부침을 대폭라으로 확대하기도 한다. 단지 흥미나 열정이 조금만 사라지더라도 주가는 형편없이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과소평가의 두 가지 주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아야 한다. 그것은 1) 현재의 실망스런 경영실적과 2) 오랫동안의 무관심과 저인기이다.
시장의 변덕은 반복적으로 할인 상황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장수준에서 많은 개별적인 할인종목이 존재한다. 시장은 침소봉대하ㅣ를 좋아해서 작은 흙덩이를 산으로 만들거나 일상적인 부침을 대폭라으로 확대하기도 한다. 단지 흥미나 열정이 조금만 사라지더라도 주가는 형편없이 하락할 수 있다. 따라서 과소평가의 두 가지 주요 원인이 무엇인지 알아보아야 한다. 그것은 1) 현재의 실망스런 경영실적과 2) 오랫동안의 무관심과 저인기이다.
반응형
'대가들의 한마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완전함보다 불완전이 아름답다. (0) | 2011.08.24 |
---|---|
삶의 지혜 - 행운에 모든 것을 맡긴 채 의지해서는 안된다. (0) | 2011.08.23 |
얻으려하지 말고 먼저 주어라 (0) | 201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