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2013. 8. 25. 20:07
반응형

[ ( surplus -> exchage ) -> exchage -> ... -> ] == multiply == numb3rs


http://www.economyprofessor.com/economictheories/consumer-surplus.php


consumer surplus

(19TH-20TH CENTURY)

Identified by French engineer and economist Jules Dupuit (1804-1866) and later developed by English economist Alfred Marshall (1842-1924), consumer surplus theory assumes that the price paid by consumers for a good never exceeds and seldom equals the amount they are willing to pay rather than forgo the good.

The satisfaction derived from the good is greater than that derived from products given up in making the purchase; thus, the consumer receives a surplus in satisfaction in excess of the price paid for the good.

Also see: cost benefit analysisprice discriminationsocial welfare functioncompensation principle

Source:
A Marshall, Principles of Economics (London, 1890);
A Bergson, 'A Note on Consumer's Surplus',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vol. XIII (1975), 38-44

 




http://www.ethree.com/CPUC/5-%20E3%20multiplier.ppt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5. 20:06
반응형

http://www.economyprofessor.com/economictheories/negative-income-tax.php

Negative Income Tax

(1962)

Negative income tax was first used by American economist Milton Friedman (1912- ) to describe a form of income maintenance which aims to bring low-income households living below the subsistence level up to a minimum income level set by the government.

Source:
M Friedman, Capitalism and Freedom (Chicago, 1962)

 

 

=> A proposal to combine income tax and social security in a single system. Under this system, all citizens would report their pre-tax incomes; they would then pay tax if their incomes after deducting any allowances to which they were entitled came above some cut-off level, and would receive payments if their income was below the cut-off.

 

 

http://politicalcartel.blogspot.com/2007/05/negative-income-tax_16.html

 

To this point, I haven't posted anything about economics which is strange because this is one of my favorite subjects. I guess a good place to start would be my favorite hypothetical tax model. I say hypothetical because it has never been done and probably never will, but it's fun to talk about.

I am an advocate of the negative income tax, a tax structure advocated by Milton Friedman. Its actually pretty simple. I would darn near say this is the simplest tax structure there ever could be. To begin with, you eliminate the entire welfare system. You also eliminate minimum wage. In their place, you create a minimum yearly income. For this example we'll use a minimum income is 10,000 dollars. That means, every single person in the country gets a guaranteed 10,000 dollars.

Then the current tax system would be completely eliminated. In it's place would be a flat tax. Let's put it at 25%. This would make doing and collecting taxes much easier. Based on the given figures, here are some different scenarios:

1. Someone making 4,000 dollars a year would be taxed 1,000 dollars. However, they would then recieve the 10,000 dollars from the government making their net income 13,000 dollars.

2. Someone making 40,000 dollars a year would be taxed 10,000 dollars but they would recieve 10,000 form the government. This would make 40,000 dollars the break-even point.

3. Someone making a million dollars a year would be taxed 250,000 dollars and would recieve 10,000 from the government. This would mean their net income would be 760,000 dollars. I got these examples from wikipedia. I'm much too lazy to come up with my own numbers if I don't have to.

I like this system because it gives the poorest more of an incentive to work. Many people recieving welfare have no incentive to work because they lose their welfare. I also like it because it gives everybody something. I'm not saying it will be easy but If you take that 10,000 dollars with whatever else you are earning and use it wisely, you can advance yourself. You can get yourself out of the cycle of poverty. You can survive an unexpected illness. You can afford to take some community college courses. This system is not perfect but I think it is a lot better than what we have.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5. 20:05
반응형

 

 

 

 

 


 



 


--------------------------------------------------------------------------------------------

!!! Resources !!!! - elasticity!!!


For the most part, tax revenue will first increase as we raise taxes but as the gross price keeps rising, the quantity decreases more and more. Eventually, the tax revenue will also begin to decrease. the more inelastic the demand, the slower the tax revenue falls.

put taxes on goods in inelastic demand like tobacco and gasoline.


1. Influence people’s behaviour by inducing them away from the goods that are taxed.

2. Raise revenue for the government to spend, making those who receive the expenditures better off.

3. Create a dead weight loss.

 



---------------------------------------------------------------------------------------

http://www.econmodel.com/classic/terms/deadweight_loss.htm


Deadweight Loss

Deadweight loss is the inefficiency caused by, for example, a tax or monopoly pricing.  The diagram below shows a deadweight loss (labeled "gone") caused by a sales tax.  By causing a difference between the pre-tax price received by producers and the after-tax price paid by consumers, the government secures the area labeled Government Revenue.  This revenue comes at the expense of the consumer surplusand producer surplus that would have existed in the no tax equilibrium.  The "gone" triangle of deadweight loss goes to no one because those transactions are prevented by the sales tax.

This diagram is borrowed from Who Pays a Sales Tax?, which applies this concept.

 




 


 


elasticity



---------------------------------------------------------------------------------------

A Tobin tax is the suggested tax on all trade of currency across borders. Named after the economist James Tobin, the tax is intended to put a penalty on short-term speculation in currencies. The original tax rate he proposed was 1%, which was subsequently lowered to between 0.1% and 0.25%.

On August 15, 1971, Richard Nixon announced that the US dollar would no longer convert to gold, effectively ending the Bretton Woods system. Tobin suggested a new system for international currency stability, and proposed that such a system include an international charge on foreign-exchange transactions.

 




Beggar thy neighbor

 

????????????????????????????????????????????????????????????????????????????????????????

http://dejavous.net/2009/03


The term “beggar thy neighbor” refers to protectionism policies which have become more popular in this economic crisis. Due to heavy deflation, which causes unemployment and illness of the domestic market, some countries have to carry out policies seeking for their own benefits first, rather than to contribute to the global economic balance and stability.

As opposed to free trade, protectionism restrains trade among nations. Those policies aim to enhance domestic market and to reduce the rate of unemployment. Protectionism governments might impose either tariffs or quotas on imports to restrain imports and by doing so, they shift demand onto domestic production. Two instances are from Mexico and Russia. Another measure which is often used by protectionists is to devaluate the domestic currency, or to use exchange rate manipulation. Doing so will raise the cost of imports and lower the cost of exports, thus improve that country’s trade balance. (Noted that this policy can lead to inflation.) China is one of the recent examples that use this policy.

The benefits of free trade can be explained by David Ricardo’s comparative advantage theory, as the illustration below.

P[world] is the original price of the product and P[tariff] is the higher price after imposing a tariff. Because of the tariff, a tax revenue is created and consumer surplus decreases by a higher rate than the increase of producer surplus. As a result, there is societal loss as the two pink pieces.

In this crisis, a cure for the economics downturn is to inhance the global trade, which was predicted two days ago in the WTO’s most pessimistic report in its 62-year history. This report estimates that the global trade will slump by 9 per cent in this year and the falling rate in developed countries will be higher than that of developing ones, which is just 2-3 percent. Therefore, protectionism policies as a barrier against free trade should be prevented by all the countries. According to World Bank, it is estimated that 17 of the 20 countries coming to London on April 2 had already broken free-trade promises. So, the firm stand against protectionism which many expect the G-20 to take seems having lack of the support from its own members.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28
반응형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EMDR이란 무엇인가?

 

EMDR(Eye Movement Desensitization & Reprocessing), 즉 안구 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은 혁신적인 정신치료의 한 방법으로 현재 전세계적으로 3만 명 이상의 정신보건 전문가(심리학자, 정신과의사 등)가 정식 트레이닝을 받았으며 200만 명이 넘는 환자 분들이 이 치료를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EMDR의 목표는 험난한 아동기 경험으로 생기는 정서적 고통의 해결이나 교통사고, 강간, 폭행, 자연재해, 전쟁과 같은 심각한 사건의 영향을 치료하기 위한 것입니다. 그 외 공포증, 공황 발작, 소아 정서적 문제, 물질 남용 등의 치료에 사용되며 최근에는 직장, 스포츠, 연예 활동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EMDR의 역사

 

1987년 미국의 심리학자 Francine Shapiro는 우연히 자발적인 안구 운동이 부정적이고 기분 나쁜 생각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후 Shapiro박사는 EMDR이 베트남 참전 용사와 성폭행 피해자들이 앓고 있는 외상후 스트레스 질환(PTSD)의 증상을 감소시키는 영향을 연구하였습니다. 즉, 이 새로운 치료방법이 연구 대상자에서 플래시백(사고 장면의 순간적 재현), 침입하는 부정적 사고가 줄어드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989년부터 EMDR은 전세계의 훈련 받은 임상가와 연구가에 의해 발전되어 왔고, 이제는 여러 이론적 경향 즉 정신분석, 인지치료, 행동치료, 고객중심 치료의 요소들을 총 망라하는 복합적인 방법이 되었습니다. EMDR은 8가지의 단계로 구성되며 EMDR협회에서 인정하는 교육과정을 완수한 정신보건 전문가만이 시행할 수 있습니다.

 

어떻게 효과가 나타나는가?

 

현재까지 EMDR의 효과가 어떤 기전으로 나타나는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사고과정의 일부분으로 타고난 정보처리계가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기존의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사람이 매우 고통스러울 때, 대뇌는 정상대로 정보를 처리하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고통을 유발한 사건은 정보처리계에 시간 속에 얼어붙고 갇혀 버리게 되는 것입니다. 당사자가 이 사건을 기억할 때, 장면, 소리, 냄새, 생각, 감정을 기억하는 것이 실제 그 사건이 일어날 때와 같이 강렬한 느낌이 생깁니다. 이런 고통스런 기억은 사람이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나 다른 사람과 인간 관계하는 방식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현재의 사건들이나 대인관계가 고통스런 사건의 경험을 다시 자극하는 것입니다

EMDR은 대뇌가 고통스런 자료를 처리하는 것에 직접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입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안구 운동이 가속화된 정보처리계를 활성화 시키는 신경생리 기전을 유발하는 것이 시사됩니다. 가속화된 정보처리계는 EMDR에서 사용되는 말로써 고통스러운경험을 대사함으로써 신속히 작용하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비교적 최근 연구에 따르면 EMDR치료를 받은 외상후 스트레스 질환 환자들을 단일광자 단층촬영(SPECT)했을 때, 대뇌의 전띠이랑(anterior cingulated gyrus)와 좌측 전두엽(frontal lobe)의 과활성화가 관찰되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EMDR이 대뇌의 신경생리적 기전을 통해 효과를 보인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습니다(Levin et al. 1999).

 

실제 EMDR은 어떤 식으로 진행되나?

 

우선 치료자가 환자분이 치료의 초점이 될 특별한 문제나 문제들을 확인하게 도와줍니다. 정해진 절차에 따라 전문가는 환자가 특정 문제나 사고와 관련된 이미지, 자기에 대한 부정적 믿음, 신체적 감각을 발견하게 도와줍니다. 그런 다음 환자분에게 자기에 대한 부정적인 믿음일 대치할 새로운 긍정적인 믿음을 물어보게 됩니다. 고통스런 사건을 생각하는 동안 이 새로운 믿음이 얼마나 사실처럼 느껴지는지 물어보게 됩니다.

EMDR에 준비가 되면 환자분에게 그 문제를 통해 확인된 부정적인 정보를 마음속에 그리게 하고, 환자분은 전문가의 손가락을 따라 안구운동을 하게 됩니다. 각 안구 운동후에 환자분은 간단히 얘기할 기회를 갖습니다. 전문가는 환자분을 집중하게 도와주고 환자분이 고통스런 자료를 처리하게 유도하고 개입 방향에 대한 임상적 판단을 내립니다. EMDR의 목적은 부정적인 경험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고 적응적인 해결을 향해 나아가게 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고통이 경감하고,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믿음이 긍정적으로 되고, 대인관계에서 더욱 적절히 행동하게 도와주는 것입니다.

 

기존의 치료와 무엇이 다른가?

 

기존의 약물치료와 정신치료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제한된 호전을 보일 뿐입니다. 물론 이러한 치료로 완치되는 환자 분들도 있지만 말입니다. 현재 미국에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EMDR과 장기 폭로 치료(Prolonged exposure), 두 가지로 압축되는데 장기 폭로 치료에 비해 EMDR은 빠른 효과, 즉 치료 기간이 짧고(두 배 이상) 치료자와 환자분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치료로 알려져 있습니다.

 

얼마나 오래 치료 받아야 하고, 그 비용은 얼마인가?

 

일반적인 약물치료나 정신치료가 최소 6개월 이상 많게는 몇 년간 치료가 계속되는 방면, EMDR은 평균 6회(3회-8회)로 매우 짧습니다. 물론 질환의 심각도에 따라 그 회수는 정해집니다. 현재 EMDR은 신의료 기술로 보험처리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환자분이 부담해야 될 비용이 만만치 않습니다. 만약 진료비 부담 때문에 망설이신다면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치료를 받으실 수도 있습니다.

 

EMDR의 효과가 증명되었나요?

 

그렇습니다. 특히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그렇습니다. 치료의 효과는 통제 연구(controlled study)를 통해 증명이 됩니다. 현재까지 14편의 통제연구가 있었고 모두 EMDR의 우수성을 밝히고 있습니다. 최근 5개의 연구에 따르면 강간, 사별, 사고, 자연재해로 인해 생긴 외상후 스트레스 질환자 중 84-90%가 단 세 번의 치료로 이 질환이 완치되었다는 보고를 하고 있습니다.

 일반인의 PTSD 치료 효과는 미국 심리학회(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에서 12지부에서 1998년 조사 발표한 실험적으로 증명된 치료(empirically validated therapies)대한 조사에서 잘 나타나 있습니다. EMDR은 효과적으로 생각되는 치료(probably efficacious treatments)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 분류는 잘 통제된 치료 연구에서 환자에게 유익한 치료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PTSD의 정신치료 중 단 두 가지만(즉, EMDR과 장기폭로 치료) 효과적으로 생각되는 치료 항목에 분류되어 있으며, 효과적인 치료 항목(well-established treatment)에 해당되는 치료는 없었습니다.

맺는말

 

EMDR은 모든 환자를 다 완치시키는 마술과 같은 치료가 아닙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외상후 스트레스 질환의 치료 중 가장 효과적이며 가장 빠른 치료인 것은 분명합니다. 저희 한양대학병원에서 국내 최초로 EMDR협회가 공인한 트레이닝을 마친 전문가를 통해 이 치료를 실시, 외상후 스트레스 질환 환자 진료에 커다란 진전을 이루게 된 것에 자부심을 가지며 더 자세한 정보는 www.emdr.com이나 www.emdria.org에서 얻으실 수 있으며 혹은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신경정신과 김대호 교수(031-560-2274)에게 문의하셔도 됩니다.

 

자료 출처

http://www.emdr.com

http://www.emdria.org

http://www.apa.org/divisions/div12/est/97REPORT.SS.html

Chambless DL, Baker MJ, Baucom DH, Beutler LE, Calhoun KS, Crits-Christoph P, Daiuto A, DeRubeis R, Detweiler J, Haaga, DAF, Johnson SB, McCurry S, Mueser KT, Pope KS, Sanderson WC, Shoham V, Stickle T, Williams DA & Woody SR (1998). Update on empirically validated treatments II. Clin Psychologist 51(1): 3-16  

Levin P, Lazrove S, van der Kolk B(1999): What psychological testing and neuroimaging tell us about the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by EMDR. J Anxiety Disord 13:159-172

Shapiro F(1995).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Basic principles, protocols and procedures. New York: Guilford Press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23
반응형
들어가기

 

 사람은 자신이 발을 딛고 있는 세계에서 영향을 받는다. 그로 인해 가치관, 세계관이 생겨난다. 그 세계에 대한 반응으로 문제제기를 하고 세상을 바라보는 태도를 가지게 된다. 그 이후 사람은 '사상'이라고 하는 특유한 개념을 만든다. 우리는 역사를 통하여 이러한 사상이 자신보다 큰 세상이라는 곳에 영향을 주게 된다. 이 과목은 역사 속에서 이러한 사상과 세계라는 역학적 관계가 어떻게 발생하고 영향을 미쳤는지 공부를 한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사회'라는 것은 무엇일까? 이 시대,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사회'라는 것은 intertemperary 하면서 intersectional한 것이다. 즉, 우리가 규정하는 '사회'라는 뜻과 범위는 한정적이고 오늘날의 사회와 15세기의 사회는 상당히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15세기는 투표권도 사고 팔 수 있고 오늘날 일반인에게 주어지는 범위보다 더욱 특권적이고 한정적으로 받아들여 졌을 것이다. 그 중 어떤 선각자는 과거의 세계에서 좀 더 낫거나 사람, 세계를 좀 더 명확하게 이야기하려고 했고 오늘날에서 봤을 때 상당히 고리타분하지만 분명 역사적 진보나 시대의 상황에 적합한 이야기를 했을 것이다. 그래서 선각자들의 '사상'은 보편 타당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인간의 공통의 결과를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게 기여를 했다. 근대 이전의 시대에는 비이성과 논거 없는 당위가 있었고 합리가 있던 시대는 근대 이후로 부터 태동하게 된다. 근대부터 인간의 공통적인 생각, 가치관, 세계관이 응축된 결과물이 즉 '샤상'이라고 할 수 있다.-반대로 말하자면 근대 이전에는 논리적이거나 이성적이고 인류의 보편타당함을 대표해줄 수 있는 성격이 드물었다고 한다-

 

 -경제사상?

경제는 흔히들 '먹고 산다'라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근대 이전 인간은 이러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았고 근대 이후에서야-인류의 역사 속에 가장 최근에-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근대 이전의 이야기는 상당히 비이성적이고 종교과 억지가 앞서는 사회였다. 그래서 합리성을 기초로한 사상이 받아들여지는 것은 당시에 다소 회의적일 수 도 있었다. 물론 고대 사상가들이 녹여낸 사상이 무가치한 것은 아니지만 중세의 주류 사상을 들여다 보면 다소 적나라한 인간의 무지와 야만적인 모습을 볼 수 있다.

 

-1.르네상스(Renaissane)?

 르네상스는 프랑스어로 '재탄생'을 의미한다. 음악에서 말하는 과거 히트 쳤던 음악을 다시 편곡해 만드는 '리메이크'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단순한 활동이 어떻게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라고 말할수 있을가? 이것은 고대와 중세, 근대를 통과하는 역사의 흐름으로 알 수 있다. 인류는 고대와 중세를 거치면서 '인간','사회'를 바라보는 모습은 오늘날의 기준으로 봤을 때 상당히 뒤틀리고 왜곡된 시각이었다. 예를 들어 지배층이 피지배층위에 군림하기 위에서는 '신'이라는 존재를 빌려서 억압하였고, 논리와 합리보다는 그들에게 거슬리는 행동은 '신'이라는 권위를 세워 억압을 했다. 상당히 억압받고 비합리적인 시대적 성향은 사회를 구성하는 다수의 사람에게 문제제기를 하게 되었고, 그 결과 새로운 사상이 퍼지기 시작한다. 그것은 보편 타당한 시각으로의 전환이고 신을 배제한 인간으로서 관심이었다. 이것은 패러다임의 전환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사상은 새로 만들어 지지 안핬다. '세상은 새로운 것이 없다'라는 말 처럼 과거의 사상이 많은 사람들에게 '정','반'되어 합이 되거나 변증법을 통해 시대적인 움직임으로 만들어 졌다.

 르네상스는 14세기부터 16세기에 시민으로부터 지배계급을 아우르는 진보적 문화 운동이며 해방운동이었다. 다른말로 인본주의라고도 하는 것은 이 사상의 성격은 신을 중심이 아닌 '인간'을 중심으로 한 사상이기 때문이었다. 사회적으로 너무나 '신'의 권위가 군림하게 되었고 이로 인한 반작용으로 인본주의가 시작된 것이다. 이 르네상스는 인류 역사에 있어 사상의 진정한 목적에 가까운 과정과 역할을 보여준 사건이다. 당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해결책을 사상을 통하여 제시하였고 인류의 발전에 기여한 점이 있기 때문이다.

 me) 내가 궁금했던 것은 사상적으로 고대와 중세를 가르는 사건이나 사상이 있는지?

 

 르네상스 이 전에는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은 인간은 단순히 신의 종이라는 시대정신이 깃들여 있었다. 그래서 중세의 가치판단은 '신'이라는 통합적이고 절대적인 존재로 통했다. 그러나 너무나 신을 중요시하면 상대적인 반작용이 일어나듯이 종교에 대한 너무나 큰 부조리와 피지배계급에 대한 군림은 종교를 '빌어먹을'것이라는 반응처럼 신을 부정하게 된다. 그래서 사람으로 부터 생겨난 이 사상은 사회, 정치, 과학, 문학, 종교와 같은 인류 전반적인 분야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다시 사람의 의식에 영향을 주게 된다.

 

 오늘날 말하는 기득권이나 지배계급이 군림하는 힘은 그 시대에 사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그 사람은 나보다 돈이 많아서 잘 낫어'라고 말한다면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우리가 숨을 쉬는 이 시간 이 공간에 대표적인 사상-자본주의-을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또 능력이 좋다고 해서 지배할 당위성을 찾는 다면 '능력 중심사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러한 무의식적 반응에 대해 당연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생각이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이 것은 안타깝게도 이전 시대에 살다간 사람들의 작은 책에서 혹은 말에서 시작되었을 수 도 있다.

 

 2. 르네 상스의 대표적 인물

 르네 상스라고 하면 레오나드로 다빈치, 미켈란 젤로를 떠올리기 쉽다. 물론 르네상스는 문화의 혁명이기 때문에 이러한 인물을 떠올리기 쉽다. 그러나 사상을 중심으로 한 인물은 보카치오, 에라스무스, 토마스 모어, 마키아 벨리가 대표적이다. 보카치오는 천재 작가 이며 데카메론이라는 문학을 썻다. 이 이야기의 배경은 흑사병이 창궐한 나라에서 귀족들 7명과 남정네 3명이 흑사병을 피해 별장으로 숨어들어 이야기를 하는데서 시작한다. 그래서 10명이 10일동안의 이야기를 하는 내용이다. 그 내용은 상당히 지배계급의 위선과 부조리함, 비도덕적인 행동을 드러내었으며 중세시대의 주류 사상인 신성주의를 깨는데 도움을 줬다. 그리고 중세와 근대를 나누는 사건중 하나인 엔클로저 운동이 발생한다. 재산의 사유화를 관에서 주도하여 발생하는데, 토마스 모어에겐 이러한 사유화는 그의 이상과 충돌하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의 소설 유토피아-세상에 없는 땅-이라는 곳에서 투영된다. 유토피아라는 곳은 제도적으로 사유가 허용되지 않는 세상이었다.

 마지막으로 르네상스 후반에 나타난 인물은 '마키아 벨리'다. 그는 르네상스의 후반을 대표하는 인물인 이유는 자기 주관이 밝혀지는 르네상스의 진가를 표현한 책이 그의 저서 '군주론'이기 때문이다. 그곳에서 정치는 종교와 독립적이어야 한다.라는 주장을 펼침으로서 상당히 실용적이고 합리적인 사고를 보여준 저서이기 때문이다.

 피렌체라는 전쟁으로 지도자가 자주 바뀌던 곳에서 자신의 주장을 적극적으로 펼쳐 자신이 등용되기를 거리낌 없이 글을 쓸 수 있었다는 것, 그의 다른 저서에서 로마의 공화정이 이상적인 국가제도라고 말한 것을 종합 해보면 그는 인간이 가지는 존엄성을 사회제도에 투영시켰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마키아 벨리가 근대 철학으로 움직이는 동인이 될 수 있었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22
반응형

3. 미국의 대응전략과 문제점                   

 

1) 금융시장 위기의 원인과 전개과정

 금융시장의 동요는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화과 진원지이며 이로 인한 부동산 가격의 지속적인 하락이 금융자산의 부실과 가치하락을 초래하고 있다. 주택가격의 전액까지 대출하여 주택가격의 상승을 주도한 서브프라임 모기지채권이 부실화되자 부동산 매물이 쏟아져나오기 시작했고, 매물증가로 주택가격이 더 하락하며 가계와 서브프라임 모기지 대출 금융기관 파산이 확대된 것이 금융위기의 발단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대출해 준 금융기관은 이를 담보로 다른 금융기관으로부터 자금을 빌리거나 혹은 채권을 발행하여 추가자금을 조달하였다. 채권의 일부는 다시 부동산자금 전문 금융기관이나 보증업체에 담보로 제공되어 새로운 자금을 조달하는 데 이용되었고 이 기관들은 전세계 여러 금융기관들의 투자를 받아 운용되면서 여러 금융기관들이 연계되었다.
 
 지금의 금융시장 혼란은 지난 해 시작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이 되지 못하고 계속 악화 되어 부동산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한 결과, 안전한 자산으로 간주되어 온 분야까지 부실이 확대되어 발생하였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부실사태 이후 금융위기의 전이과정은 주택가격 하락으로 인한 <모기지시장의 부실화 → 모기지 관련 업체 및 보증기관의 부실자산 증가 → 대형은행 파생상품가격 하락 ?대형은행 및 금융기관 부실 및 파산>으로 진행되고 있다.

 
 2) 정부와 FRB의 대응전략과 문제점

 

① 미국정부

 미국정부는 ‘부동산가치하락 ↔ 금융자산 가치하락’간 악순환의 고리를 끊기 위해 이자율을 내려 모기지를 이용한 가계의 부담을 줄여주고, 자금경색을 방지하기 위해 유동성을 지속적으로 확대공급하는 방안을 시행한다. 이는 이자부담 경감으로 모기지 부실증가를 방지하고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여 자금경색이 완화되면 부동산 구매가 늘어나 부동산 가치하락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대형금융기관의 부실화와 파산사태 이후에 정부가 직접 양대 국책 모기지업체 페니메이와 프레디맥의 유동성 위기 해소를 위해 2천억 달러를 시장에 제공하기로 하였지만 누적된 부동산 매물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여서 가격하락이 지속되었고 대형 투자은행의 부실화로 금융시장이 생존을 위한 유동성확보 경쟁에 돌입하며 미 정부의 정책이 성공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지속되어 미국 금융기관의 부실도미노가 가속화되고 세계적으로 금융위기가 전이되어 세계적 금융위기를 초래하게 되었다.

 

 ② FRB

 미국 연준은 유동성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7번에 걸쳐 이자율을 5.25%에서 2.0%까지 하락시켰으나 부동산 가격하락을 중단시키지 못하였다. 1일물 자금지원제도(Primary Dealer Credit Facilty : PDCF) 및 국채 대여제도(Term Securities Lending Facility : TSLF)의 담보 범위를 확대 하였다. 또한 경매방식으로 은행에 1830억달러, 투자은행에 600억 달러를 대출해주고 보험사 AIG에 850억 달러 구제금융을 하게 된다.

 

 기준금리 또한 현재 1.50%로 내렸다. 은행들에게 대출할 때 적용하는 재할인율도 50bp 인하했다. 다음 <표6>에서 FRB의 금리의 변화를 알 수 있다.

 


 3) 사태에 대책과 위기해결

 

 뉴욕 월가의 금융위기를 수습하기 위하여 재무부와 FRB가 나섰다. 7천억달러의 공적자금을 투입하여 금융기관의 부실을 떠안을 공적기구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고, Primary Dealer 및 금융시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확대를 결정하였다. 재무부가 직접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해야 한다. 부실 자산 인수를 위한 구제금융 비용 7000억달러는 국채를 발행해 충당하기로 했다. 당장은 FRB를 통한 공적자금을 투입하는 것이 훨씬 수월하다는 의견이다. 다만 FRB가 전면에 나서는 것은 옳지 못하다는 비판이 상당하다. 공화당 대통령 후보인 존 매케인 상원의원은 “FRB는 금융 구제 대책에서 한발 물러서 있어야 한다. 본래 업무인 인플레이션 억제와 중립적인 통화정책 수행에만 집중하라”고 주문했다. 재무부가 나서든 FRB가 나서든 국민의 세금을 쏟아 붓는 것인 만큼 재정적자는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11월 선거에서 새 대통령은 엄청난 적자재정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미국정부의 광범위한 대응조치는 첫째, 자산디플레와 금융부실간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하고 둘째, 금융시장의 부족한 자금을 조달하여 새로운 부실을 방지하며 셋째, 정부의 신뢰를 바탕으로 패닉상태에 빠진 금융시장을 정상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지금까지 부실화된 기업에 대하여 사안별로 정부의 개입여부를 결정하던 정책을 포기하고 기업부실의 원인이 되고 있는 부실채권을 구매하기로 한 것은 금융시장의 잠재부실일반을 털어내고 악순환의 고리를 단절할 수 있는 올바른 방법으로 판단된다.

 

 4) 한국과의 관계
 
 서브 프라임 부실 문제에 따른 신용경색 등이 예상보다 심각하고 주택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어 미국경제가 1%미만의 성장을 기록하는 경착륙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미국과의 종속적인 경제상황에서 이것은 큰 문제임에 틀림없다. 리스크 관리에도 주력하여 경기가 급랭하지 않도록 하는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미국경제의 둔화가 중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 대미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아시아국들을 거쳐 한국 수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지 한미관계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영향권 아래 있는 국가들 중 우리나라와의 교역이 많은 나라에도 수출에 영향을 줄 것이기 때문에 수출은 부진할 것이다.

 

 미국의 금융시장 불안은 세계금융시징의 불안으로 이어졌고 우리나라의 증시 또한 부진을 면치 못하였다. 또한 고용상황 또한 좋지 못했기 때문에 소비부진으로 이어졌다. 이것은 계속해서 물가가 상승함에 따라 이루어진 것인데 그로 인해 소비심리가 냉각되고 실질소득 감소, 글로벌 금융불안에 따른 국내 증시부진 그리고 고용악화로 이어지며 악순환을 되풀이 하고 있다.

 

 출처 : http://blog.naver.com/aserene?Redirect=Log&logNo=80057233079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21
반응형

1) 서브프라임모기지(Sub-Prime mortgage)란?


 서브프라임 모기지는 신용 조건이 가장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주택담보 대출을 상대적으로 고금리에 하는 제도이다. 주택 시세의 거의 100%수준으로 대출을 해주는 대신 금리가 높은 대출제도이다.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대출 금리는 우량 대출인 프라임 모기지의 대출 금리보다 2~3%가 높다. 그리고 대부분이 2년간 고정금리를 내다가 28년동안 변동금리를 내는 구조로 되어 있어 계약 당시에는 이자가 비싸지 않지만 해가 넘어갈수록 이자율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신용등급을 설명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등급까지 순위를 만들어서 신용등급에 따라 은행 대출, 예금 금리등이 천차만별이다. 그런데 미국의 신용등급제는 점수제도이다. <표 1>을 보면 660점이 넘으면 프라임, 620~660점이면 알트-A, 620점 미만이면 서브프라임이다.

                                                                           <표1> 

우리나라 은행(은행별로 신용평가)

미국(독립기관이 신용정보 관리)

1등급

프라임 (Prime) → (660점 초과)

Excellent

2등급

알트-A(Alt-A) → (660점~620점)

Good

3등급

4등급

5등급

Fair

6등급

7등급

서브프라임(Sub-Prime) → (620점 미만)

Poor

8등급

9등급

 


 좀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Excllent는 850~750점, Good은 749~660점. Fair는 659~620점, Poor는 619~400점으로 구분한다. Fair등급 이상은 일반은행대출이 가능하지만 620점 이하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업체에서 대출하게 되는 것이다.


 서브프라임은 우리나라에서 7~9등급 신용등급에 해당한다. 미국에서 서브프라임이 차지하는 비율은 9%남짓하지만 “부실한Fair(5~6등급)까지 합치면 20~30%로 늘어난다. 통계적으로도 나라의 1/4이상이 서브프라임과 연관되어 있었다는 것이다.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보자면 현실과 부합하여 얘기하면 간단하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살면서 가장 가지고 싶고 가장 필요한 것은 자신의 ‘집’이다. 세계의 모든 사람들의 소원일 것이다. 하지만 집값은 굉장히 비싸기 때문에 벼락부자가 아니라면 거의 모든 사람들이 대출을 생각하게 된다. 이렇기 때문에 은행을 방문하여 대출을 신청하게 되고 은행에서는 신용조회를 통해서 피대출인에게 대출여부와 대출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만약 프라임등급이면 바로 대출을 해주며 집값의 60%까지 대출을 해주는 곳도 있었다고 한다. 게다가 이자율까지 낮게 책정된다고 한다. 예를들면 기준금리가 2%라면 1등급은 1.8%, 2등급은 1.85% 이런식인것이다. 그런데 알트-A등급에서는 얘기가 달라진다. Good등급에서는 별문제없이 대출이 가능하지만 Fair 등급에서는 점장과 상의한다거나 여러 가지를 따져보고 대출을 해준다는 것이다. 또한 대출 금액 또한 낮게 책정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서브프라임등급을 가진 사람들이다. 미국의 일반은행에서는 대출이 불가능한 사람들이기 때문에 다른 금융기관을 찾게 된다. 우리나라의 저축은행의 역할이다. 하지만 서브 프라임 중에서도 특히 신용등급이 더 낮은 사람들은 저축은행에서도 거부 받게 되고 이럴 경우에는 전문 서브프라임 기관을 찾아가게 된다.


 전문 서브프라임 기관을 예로 들면 ‘뉴-센츄리 파이낸셜’로 설명하기 쉽다. 이 곳에서는 서브프라임 등급의 사람들에게 집값의 100%까지 대출을 해주었다. 담보가 어떤 것이기에 집값의 100%를 대출해주었을까? 그것은 바로 주택이다. 앞으로 살 집이라는 얘기이다. 미래의 살집을 정해놓고 대출을 해준다는 얘기이다.


 문제는 여기서 발생한다. 처음 몇 년간은 싼 이자를 요구하기 때문에 서브프라임 등급의 사람들에게 아주 좋다. 하지만 2~3년차부터는 이자가 올라가게 된다. 현혹하기 위하여 초반에만 싸게 해주는 것이다. 서브프라임은 금리가 고정되어 있다 하더라도 변동금리를 적용받기 때문에 금리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그런데 FRB의 기준금리가 상승하게 되고 이자를 갚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기 때문에 집을 팔게 된다. 만약 집값이 올랐다면 팔아버리고 다른 집으로 이사가서 더 좋은 서브프라임을 찾으면 되지만 집값이 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마저도 불가능했다.


 게다가 기관에서의 문제점도 발생한다. 서브프라임 등급의 사람들은 믿을 수 없는 고객들이기 때문에 빌려준 돈을 가지고 시중 은행이나 투자기관들끼리 거래를 하려고 하개 된다. 이러한 채권이 시중에 엄청나게 등장하게 되는데 신용등급평가기관인 무디스, 스탠다드&푸어스, 피치가 AAA(최고등급)을 주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의심하지 않고 채권을 사게 되었다. 믿을만한 기관들이었기 때문에 투자자들의 투자는 계속 되었고 이것은 시장에 넓게 퍼지게 되었다.


 그런데 미국정부가 인플레이션을 막기 위해 저금리 정책을 사실상 접고 금리를 올리게 된다. 그래서 사람들은 대출금액에 대한 이자를 갚을 수 없었기 때문에 집을 팔려고 하게 된다. 하지만 공급은 넘치는데 수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집값은 떨어지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부동산에 대한 매력을 잃게 되었다. 그래서 집값은 폭락하였고 서브프라임 등급의 사람들은

파산하게 되었다. 서브프라임 등급이 파산하여 돈을 갚을 수 없게 되자 돈을 빌려준 회사들도 연이어 파산하게 되고 그 회사들이 찍어낸 채권을 사들인 투자자, 기관들도 파산헤게 된다. 이에 따라 생긴 경제위기가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이다.


 한가지 시사점은 FRB의 1% 동결 금리는 많은 투자를 부추기게 되었다. 낮은 금리로 많은 사람, 기관들이 부동산에 투자하였다. 그리고 2004년 FRB그린스펀의장이 주택 구입자에게 변동 모기지와 재융자를 허용해 주었다. 이것으로 인해 낮은 금리를 이용하여 대출받은 금액으로 투자하여 금리를 상회하는 투자이익을 내어 대출액을 갚아 나아가겠다는 방식이 시장에 팽배해졌다.


 또한 투자 기관들은 이미 미국 금융시스템에 문제가 있음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과위주의 일처리로 이같은 일을 더 크게 만들었다. 과거 미국 경제의 대부로 불리웠던 그린스펀의장이 정책의 실패로 인해 이같은 결과가 일어났다고 생각한다. 저금리 정책으로 개인투자자들을 충동질했고 미국기업들, 월가 투자은행들은 단기적인 실적주의와 성과주의의 보상시스템을 과도하게 추구하여 이같은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2) 서브 프라임으로 인한 미국 시장의 변화

 

 

 


<표2>를 보고 변화를 설명해보면 1990년대 말 아시아발 경기침체, 2000년 IT 버블 붕괴로 경기가 침체된다. 미연방준비이사회(FRB)는 소비심리를 부추기기 위하여 기준금리를 1%까지 인하하여 동결한다. 자금유동성을 증가시키기 위함이었다.


 금리가 인하하자 주택보유비용이 절감되었다. 금리가 1%이기 때문에 월세로 사는 것보다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것이 매달 내는 비용면에서 적게 들게 된 것이다. 당연하게도 대출을 받아 집을 사려는 수요가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초기에는 이와 같은 정보를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우량고객(Prime)들이었다. 그래서 별 문제가 없었다.


 에퀴티라는 것은 총자산 중 부채를 제외한 것을 말한다. 주택가격에서 대출금액을 빼고 남은것이 에퀴티가 된다. 당시 미국의 주택시장은 엄청난 활황으로 수요가 공급보다 많아서 주택가격이 많이 올랐다. 때문에 에퀴티도 증가하게 된다. 쉽게 설명하면 1억에 집을 사서

1억 5천만원이 되었다면 5천만원의 에퀴티가 증가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에퀴티를 다시 대출을 하는데 썼다. FRB에서 재융자를 가능하게 해줬기 때문에 이러한 에퀴티를 담보로 재융자를 받은 것이다. 집을 사고 난 후 남은 금액으로는 소비를 하게 되었다. 집안을 꾸밀 가구와 인테리어, 자동차 등을 소비하게 된다. 시장은 엄청난 활황으로 경기가 좋아졌다.


 여기서 문제는 경기 상황이 좋았기 때문에 대출도 늘어나고 집을 사려는 서민,빈민 층의 수요 또한 계속 이어졌기 때문에 집이 부족하게 되었다. 그래서 집을 짓게 되고 건설경기가 좋아지고 경기가 좋아지는 것으로 되풀이 되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활발해지고 투기성 자본이 생기게 되었다. 사람들의 인식은 부동산에 투자하면 무조건 돈을 번다고 생각하게 되었고 결국 돈을 빌리는 사람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대출 업체가 경쟁을 하게 되고 빌려주는 금액이 집값의 100%에도 다다르게 된다. 돈이 없어도 집을 살 수 있는 상황이 되어 버린 것이다. 이로인해 경기가 좋아지고 주택수요가 올라가고 주택을 살 때 경매 입찰까지 하게 된다. 집값은 높게 올라가게 된다.


 하지만 자금유동성이 너무 좋아지자 인플레이션을 우려한 소식들이 생기게 되고 FRB의장이 그린스펀에서 벤 버냉키로 바뀐다. 버냉키는 기준금리를 올려서 자금유동성을 줄이려 한다. 금리가 올라가면 대출이자가 올라가게 된다. 대출을 받아 집을 산 사람들은 갚아나가야 할 대출이자가 늘어나게 되어 소비지출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집을 사는데 돈이 많이 들게 되어 부동산에 대한 신규수요도 줄어들게 되고 투기한 사람들은 돈을 잃기 시작하게 된다.


 투자 손실은 결국 부채를 갚을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 내게 되었고 변동금리를 통해 이자를 싸게 내었던 시절은 지나가고 비싼 이자를 내는 시기가 온다. 사람들은 돈을 갚을 수가 없었고 돈을 빌려준 기관들은 손해를 보기 시작한다. Alt-A의 Foor부터의 고객들은 파산을 하게 되고 대출담보부증권, 주택담보부증권 등 온갖 유동화증권들의 신용등급이 낮아진다. 이에 따라 부동산과 관련된 사업들이 큰 타격을 받게 된다.


 대출 이자를 갚을 수 없는 사람들의 집은 결국 차압당하고 시장에 매물이 나오게 된다. 동시 다발적으로 공급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그래서 주택가격은 떨어지게 된다. 사람들은 주택가격이 떨어지자 기다리기 시작했다. 주택가격이 더 떨어져서 투자를 할 시기를 찾는 사람과 더 싸게 구매하려는 사람들이 기다리기 시작했다. 반복적으로 집값은 계속 떨어지게 된다.


 매물이 증가함에 따라 주택가격이 상승하고 한껏 올랐던 에퀴티 또한 내려간다. 1억에 샀던 집이 1억5천이 되었었지만 1억도 되지 않는 금액으로 하락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것은 1억을 주고 산집에 대출이자를 갚아나가면서 투자이익으로 매꾸어 나가려고 했던 사람들은 모두 타격을 입게 되는 것을 말한다. 1억에 사서 집값도 손해를 보고 대출이자만 갚아야 할 상황이 된 것이다.


 이제 소비심리는 완전히 위축되어 시장이 침체기에 접어든다. 결국 올라간 대출이자를 갚기 위해 다른 방향의 소비가 굳어져 버리게 된 것이다. 주택의 수요가 없어서 건설경기가 침체되고 관련 산업들의 침체로 이어지고 전체 시장의 침체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출처 : http://blog.naver.com/aserene?Redirect=Log&logNo=80057233079

반응형

'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의 대응전략과 문제점  (0) 2013.08.20
IB(Investment Bank)의 위기  (0) 2013.08.20
생산운영관리 summary  (0) 2013.08.20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17
반응형

IB(Investment Bank)의 위기


 1) 투자은행 개요


투자은행(IB)은 20세기 중반 이후 미국에서 본격적으로 발전된 금융회사의 유형으로, 유가증권 인수를 주업무로 하는 금융회사를 통칭한다. 1970년대 중반이후 유가증권 위탁?자기매매, 뮤추얼펀드 판매, 자산관리, 벤처캐피탈, 기업인수?합병(M&A) 중개 등으로 업무범위 확대 되었다. 투자은행이라는 용어는 금융산업을 권역별로 구분하는 은행업, 증권업, 보험업 등과는 다른 개념이며, 우리나라에서는 증권회사와 가장 유사하다. 영위업무에 따라 증권법, 투자회사법 등 개별법에 의해 규제한다.


 2) 미국 투자은행의 특징


 대형 투자은행과 중?소규모 전문투자은행이 공존한다. 주요 종합투자은행의 경우 자본력 확충,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대형화하였으며, 종합서비스를 제공하면서도 나름대로 전문분야를 보유 하고 있다. 주요 투자은행을 살펴보면 메릴 린치는 1971년 기업을 공개하고 1973년 금융지주회사체제로 전환하였으며 자산고나리 및 증권서비스에 강점을 가지고 있고 모건 스탠리는 1986년 기업을 공개하고 자산관리 및 증권서비스에 강점을 갖고 있다. 골드만 삭스는 1999년 기업을 공개하고 자기거래 및 M&A자문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주요 투자전문은행들의 경우 비교우위 부문에 전문화하였으며, 우리나라 증권회사보다 절대규모가 크다고 볼수 있다.


 90년대를 거치면서 투자은행은 금융시장의 거대한 손으로 성장한다. 투자은행은 수학적인 기법, 물리학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객 상품을 개발하였기 때문에 자금은 모여들게 되었다. 고도로 전문화되고 복잡한 것을 만들어 고수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다.


 메릴린치와 리먼브라더스만 봐도 우리나라의 50개의 증권사를 합친것보다 50배이상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5대 투자은행은 전세계의 30%의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3) 주요 투자은행


① Bear Stearns


Bear 와 Stearns 사의 모회사로 국제적인 투자은행 중의 하나이고 세게적인 위탁 중개업체이다. 주 사업 영영은 자본시장(주식, 채권, 투자은행 : 80%이하)과 자산관리(10%이하)와 국제적인 청산산업(12%)이다. 전형적인 투자은행이라고 볼수 있다. 베어스턴스는 기업의 재정, 인수 합병, 단체의 주식과 채권의 판매, 파생, 외환 거래와 선물 판매와 매매, 자자산관리와 보관업무 등을 해왔으며 국제적인 중개 매매자, 초우량 중개 고객(헤지펀드)들과 증권 대차 거래를 포함한 전문적인 매매자들을 위한 국제적인 청산업무를 제공하였다.


 베어스턴스는 07년말 기준으로 총 자산이 1.1조달러, 순이익 23억 달러규모의 미국 내 5위의 투자은행이었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서브프라임 헤지펀드가 거의 가치가 없어져 버려서 헤지펀드가 파산보호를 신청하게 된다. 이후 자산의 가치는 계속하여 감소하게 되며 신용등급 또한 내려가게 된다. 이후 JP모건이 FRB에게 베어스턴스의 인수를 허가받고 헐값에 인수하게 된다. 지분 39.5%를 주당2$였다가 주주들의 거센 반발로 10$선으로 변경되게 된다. 하지만 이런 과정은 베어스턴스의 맨하탄 본사건물의 부동산 가치정도의 수준이었다.


② Lehman Brothers Holding


 리먼은 미국의 제 4위의 투자은행이었다. 리먼의 강점은 채권중개 분야이며 증권, 연구 및 거래, 투자관리, 사모투자, 프라이빗 뱅킹등에 관여하였고 미국 국채 시장의 주 딜러였다. 리먼 브라더스는 여렂 자산을 베이스로 증권을 발행하여 유동성을 창출하는 사업을 많이 해왔는데(일종의 채권발행) 미국 모기지 시장과 관련된 증권에 많은 투자를 해왔고 고정 금리상품이라는 리먼 브라더스의 특성이 칼날이 되었다. 서브 프라임에 관련된 부분에서 대출뿐만 아니라 많은 채권을 사들였었기 때문에 자금이 회수가 되지 않자 큰 손해를 보게 되고 파산보호를 신청하게 되었다.                                     


 리먼은 정부에 파산보호를 신청하여 ‘법정 관리’ 상태가 되기를 희망하였으나 미국 금융 당국이 지급 보증을 거절하여 위기를 맞게 된다. 서브프라임 이후 주가가 95% 이상 하락하고 파산신청 이후 0.21달러로 거래를 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산업은행에서 51%지분의 인수를 시도한 흔적이 있다는 보도가 됨에 따라 더 크게 이슈로 부각되기도 하였다.


③ Merrill Lynch


 메릴린치는 세게 최대 증권사와 보험, 부동산 회사 등을 보유한 투자은행이다. ‘월스트리트에서 메인스트리트로’를 모토로 미국 가정에 주식투자의 붐을 일으켰다. 증권업, 투자신탁등 다양한 방면에서 인수합병을 통하여 성장하여오고 2008년 3분기 기준으로 총자본규모는 348억달러로 1조 6천억 달러의 자산을 운용하고 있다.


 메릴린치는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이후로 유동성 위기와 주가 급락을 거듭해왔다. 리먼브리더스가 파산을 선언하면서 위기기가 고조되고 협상시작 48시간만에 뱅크오브아메리카(BOA)에 440억 달러의 보통주와 60억달러의 옵션을 포함하여 500억 달러에 매각한다. 우리 나라와 관련하여 한국 투자공사로(KIC)로부터 60억달러 규모의 자금을 지원 받았고 또한 306달러 규모의 자산담보부증권(CDO)를 론스타에 헐값에 매각하게 되는 등의 일이 있었다.


 메릴린치를 흡수한  BOA는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였다. 소매금융은 물론 주식, 채권, M&A 자문 등 투자은행과 자산운용을 보유한 대형 종합금융그룹으로 도약하였다. 특히 2조달러의 달하는 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BOA가 메릴린치의 고객자산 2조5천억달러를 흡수할 겨우 초대형 금융기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메릴린치를 인수한다는 발표 이후 주가(21.31%)와 신용등급(AA → AA-)이 급락하게 된다.     

 

 출처 :    http://blog.naver.com/aserene?Redirect=Log&logNo=80057233079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10
반응형

생산운영관리 summary

Chapter. 1 생산운영관리 입문

 

 

200643236 신명석

 

 

 

1. 생산운영관리는 무엇인가?

 우선 생산운영관리의 필요성을 알기위해선 미국에서 유명한 월 마트(wal-mart)를 통해 알 수 있다. 월마트는 1970년 시어즈, JC페니와 K마트가 소매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시장을 진입하기위해선 힘든 환경이었다. 그러나 월마트는 가장 크고 이익을 많이 내는 소매상이 되었다. 그리고 보잉사는 1990년대에 생산 납기를 맞추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다. 그 결과 보잉사는 일부의 주문을 놓치게 되어 주가에 큰 악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기업의 번영과 쇠퇴는 기업의 생산운영을 잘 관리하냐에 달려 있다. 그리고 우선 생산 운영관리(Operations management)는 제품을 생산하거나 혹은 서비스를 산출하는 시스템 또는 프로세스의 관리를 말한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아카데미2013. 8. 20. 11:09
반응형

 

국제금융 유인물 형성평가.hwp

 

상업정보교육론 학습지도안.hwp

 

 

20100524 상업정보 교육론 - 학습지도안 작성과 형성평가; 국제 금융부분

반응형

'아카데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산운영관리 summary  (0) 2013.08.20
Marketing Management Assignment  (0) 2013.08.20
Organizational Behavior ch.7 Professor . Chang Ho Kim  (0) 2013.08.20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