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인장의 일상2015. 6. 11. 08:52
반응형

 

그 동안 벤치 결과에 대한 의문점이나 몇 가지 쟁점에 대해 좀 더 명확하게 해주는 자료가 있군요.
사실 지난 번에도 적었지만 저는 동일가격=동일경험이면 되는 관점이지 일방적인 옹호가 아닙니다.

http://www.hkepc.com/11911/page/3

내용은 중국어인데, 핵심을 정리하면 이렇습니다.
비교는 하이닉스 MLC, 도시바 MLC, 샌디스크 TLC가 들어간 아이폰6 64GB 기종.

Zero Fill 테스트에서는 TLC가 4K 테스트까지 훨씬 앞서는 성능이 나옴.
랜덤 Fill 테스트에서는 MLC가 4K 테스트까지 50% 가량에서 2배 가량 빠르게 나옴.
동일 조건에서 TLC 탑재 기종의 Inactive 메모리 사용량이 더 높은 것을 관찰 (100MB 가량 더 점유)

여담이지만 MLC 중에서는 도시바 것이 살짝 더 빠르군요. (MLC 뽑기 되었는데도 도시바 찾는 분이 생길 듯.)


일단 TLC 자체의 성능이 예상대로 MLC보다는 느리다는 것이 확인되었고요.
대신에 TLC 탑재 기종은 디스크 캐시를 더 적극적으로 가동시키는 것 또한 확인되었습니다.
이것으로 2가지 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것이죠. TLC 수명 마모를 줄이고 느린 성능을 보완하는 것.
즉, 시스템 차원에서 TLC와 MLC를 다르게 간주하고 운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볼 수가 있습니다.

그동안 몇몇 벤치에서 보여준 결과는 이런 캐시 처리 부분에 대해 엄밀하게 고려를 안 해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즉, TLC가 MLC 채택 기기보다 빠르게 나올 수 있는 현상의 원인이 느러난 것이지요.

참고로, Inactive 부분의 메모리를 잡는다는 건 다른 앱이 필요할 경우 Free 처럼 그냥 가져다 쓰라고 한 것입니다.
원래 메모리 잡은 앱은 그냥 Active나 Wired처럼 거기에 있는 데이터를 쓸 수 있지만 필수적이지도, 당장 쓰지도 않을 것이라는 의미이죠.
그러므로 이 부분 때문에 멀티태스킹 차원에서 메모리 부족이 심화된다고 보기는 힘듭니다.
단일 앱의 메모리 요구사항이 높을 때엔 변수로 작용할 수는 있고요.


내부적으로 이렇게 다른 운용을 함으로써 표면적으로는 큰 차이가 안 드러날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쓰기 회수 자체가 MLC를 쓸 때 보다 적게 하려고 할테니 수명 문제는 생각보다 덜 치명적일 것입니다.
하드웨어적 차이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보완하기 위한 노력은 할만큼 했다는 것이지요.
일단 TLC로 확인된 분은 아쉽게나마 그냥 쓰셔도 대부분의 경우 괜찮을 것이라는 것.

그러나 좀 더 세게 굴리시는 분이라면 MLC가 유리하게 작용할 것이라는 데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제품 차이가 나는데 대해서 애플에 대해 불만을 가질만 합니다.
동일 가격 = 동일 경험이 위배되는 현상이 존재하기 때문에 저도 관점을 바꿔 문제로 충분히 봐야 한다고 생각하겠습니다.


===================

결론 : 아이폰6 64기가를 10년동안 사용하거나, 어플 8~900개, 사진 100만장 이상 저장해놓고 쓰시는분

아니면 걱정 할필요 없음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주인장의 일상2015. 3. 18. 23:24
반응형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주인장의 일상2015. 2. 9. 10:49
반응형

http://gaogaiga2000.blog.me/220204881223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주인장의 일상2013. 6. 17. 12:11
반응형

LG 옵티머스 지프로 사용 후기 및 악세서리 리뷰



 옵티머스 G 프로는 LG전자에서 유상증자나 스마트폰 투자에 대한 결과물 중 하나라고 생각한다. 그 만큼 고급화 전략과 많은 마케팅이 이뤄지고 있다.

 

우선 옵티머스 G 프로의 사양을 보자 


specification
크기 150.2 × 76.1 × 9.4 mm
무게 172g
네트워크 3G HSPA+ / EVDO Rev.A / 4G LTE
CPU 1.7GHz Quadcore Snapdragon 600
메모리 32GB eMMC + 2GB LPDDR2, Micro-SD Slot (최대 64GB 지원)
디스플레이 138.7mm (1920×1080) Full HD IPS Display
카메라 13MP AF Camera / (전면) 2.1MP
배터리 3,140mAh 착탈식
Connectivity Wi-Fi / Wi-Fi Direct (802.11 a/b/g/n), BT 4.0 (Apt-X), NFC, Miracast, SlimPort (HDMI & RGB 지원), USB 2.0
OS Android 4.1 (Jelly Bean)
색상 루나 화이트(Lunar White), 인디고 블랙(Indigo Black)
비디오 코덱 MPEG-4, H.263, H.264, DIVX, WMV
오디오 코덱 AAC, AMR, MP3, MID, WAV, WMA
지원 통신사
  • sk텔레콤
  •  
  • olleh KT
  •  
  • LG U PLUS

 일반적으로 추구하는 휴대폰의 사양을 탑재했고, 베터리의 용량은 3140mAh의 착탈식이다. 32GB의 저장용량과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장점인 다양한 비디오 코덱과 오디오 코덱을 지원한다. 


1. 특징 및 장점(자료 참조 : LG전자 옵티머스 G 프로 홈페이지)


FEATURES 1 

FULL HD IPS 대화면  LG Display의 차세대 기술력이 적용된 138.7mm Full HD IPS 디스플레이는 또렷하고 선명한 화면으로 고해상도 이미지를 실제 수준으로 느끼실 수 있습니다.

  • 고해상도 이미지를 볼 수 있는 400ppi 해상도 지원
  • 경쟁사 동급 화면 제품 대비 최대 2.25배 우수한 해상도를 지원 (pixel 개수 기준)
    •  LG 디스플레이에서 양산하는 IPS 디스플레이와 삼성 스마트폰에 대부분 탑재되는 AMOLED 디스플레이에 대해 이야기 해볼 수 있다. 두 제품모두 장단점이 있지만, AMOLED 디스플레이에 탑재된 갤럭시 S2를 사용하면서 불편했던 점을 나열해보면


       1) 파랑,빨강,노랑 등 원색을 강조한 특징

       2) 번인 현상으로 인한 화면 잔상


      을 들수 있다. 1번은 사용자에 따라 장단점이 바뀔 수 있으나, 개인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너무 자극적인 색상에 따라 눈이 피로해지거나 실제 색에 대한 색표현이 중요했다. 그리고 번인 현상은 하나의 아이콘을 띄워 놓으면 그 부분의 디스플레이가 타버려 잔상이 반영구적으로 남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LCD IPS 화면을 처음 보았을 떄 전에 사용했던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보다 어둡고, 물이 빠진 화면의 느낌이 든다. 그러나 지속적인 사용을 하다보면 실제 모니터 혹은 색을 표현해주어 눈의 피로감이나 색의 강조가 없어 더욱 편안한 스마트폰 이용이 가능했다.




      FEATURES  2

      탈착형 3,140mAh 배터리 LG 옵티머스 G Pro는 대용량 배터리가 탑재되어 있어 장시간의 멀티미디어 감상 및 인터넷 서핑에도 하루 종일 걱정 없이 사용 할 수 있으며, 무선충전 기능도 지원해 언제 어디서나 매우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최대용량 : 3,140mAh
      • 탈착형 3,140mAh 배터리 2개 기본증정
      • 편리한 무선충전 지원 (배터리 커버 별도구매)


       베터리 효율 면에서 만족스러웠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의 경우 2500mAh 전후로 베터리를 탑재하지만 5인치가 넘어가는 대화면 스마트폰의 경우 3000mAh가 넘는 베터리 용량을 탑재한다. 이로서 장시간 휴대폰 사용에도 베터리 소모가 되지 않는 장점을 보인다. 또한 이전작인 G에서의 단점으로 지적받던 일체형 배터리에서 탈착형 배터리로 바꾸었다는 것이 장점이다.

       

       실제 사용은 약 12시간 사용하고 집에 돌아올경우 40%정도 남는 수준으로 특히 대기중 베터리 지속시간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2. 단점 및 개선점

      Short point 1

       높은 하드웨어 사양에 비해 낮은 벤치마크 점수


        벤치 마크는 실제 성능과 다르지만 높은 하드웨어 사양에 비하여 생각보다 낮은 벤치마크 점수를 보여준다. 이것은 과열에 따른 기계손상을 막기위해 내부적으로 성능을 막는 다는 것이 중론이다. 

      특히 게임을 하는 유저에겐 옵티머스 G 프로는 사용 이후 디스플레이 밝기 줄임이나 성능 저하로 인해 불편함을 겪을 수 도 있다. 다만, 필자의 경우 스마트폰 게임을 하지않기 때문에 과열에 따른 성능저하는 체험하지 못했다.



      Short point 2

       벨류팩 업그레이드에 따른 배터리 사용시간 단축


       벨류팩 업그레이드를 할 경우 많은 기능 탑재로 배터리 사용시간이 단축된다고 한다. 그래서 실제 사용하는데 있어 필자는 밸류팩을 탑재하지 않고 실제 사용하는데, 배터리의 사용시간은 매우 길어 만족한다.


      Short point 3

       좁은 악세서리 선택폭

       

       삼성 갤럭시 시리즈나 애플의 아이폰 계열의 악세서리 선택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심지어 액정 보호 필름을 구입하기도 힘들고, 개성있는 휴대폰의 표현을 하기엔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 오늘날 휴대폰과 관련된 주변기기의 KT경제경영연구소는 국내 스마트폰 악세서리 시장 규모를 2010년 2,455억원, 2011년 5,000억원으로 추산될 정도로 크지만 실제 LG 스마트폰에 대한 악세서리 스펙트럼은 타 제품에 비해 넓지 않다.


      3. 악세서리 리뷰


       휴대폰을 사게 되면 악세서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다. 



      필자가 선택한 악세서리는 1. 마아이 쉴드, 2. WING 강화유리, 3, 퀵커버를 선택했다. 

      1. 마아이 쉴드 


       우선 마아이 쉴드는 현재 스마트폰 구매자들에게 낮은 가격, 높은 품질과 제품의 포장보다 제품의 질적인 부분을 부각하여 실속파 구매자들에게 어필을 하고 있다. 또한 쉴드의 특성상 휴대폰 외형과 정교히 일치해야 되는 부문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필자는 퀵커버 뒷면에 기스 방지를 위해 퀵커버 뒤에 붙여서 사용중이다.


        실제 마아이 쉴드 제품의 사진


      마아이 쉴드 부착후 






      측면 부착


      장점 : 적은 비용(5000원에 2장), 스마트폰과 일치되는 커팅으로 쉽게 부착가능

      단점 : 측면에 먼지가 부착되어 영구적인 사용은 불가능할 것으로 생각됨


      별점 4점 /5점


      2. WING 강화유리


       




      Wing은 0.033mm의 두께로 일반적인 액정보호 필름보다 강한 경도와 높은 투과율로 액정보호 필름보다 더 높은 완성도를 지닌다. 또한, 부착법은 쉽다. 액정보호 필름 붙이기를 못하는 사람도 쉽게 붙일 수 있는 장점이다.

       다만, 단점은 한장 당 2만원이 넘는 높은 비용이 단점이다.



      3. LG전자 정품 퀵커버


       



       커버의 특징은 온오프 기능이 지원되어 열고 닫고 할 때 자연스럽게 휴대폰이 반응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마치며..


       LG전자의 스마트폰을 처음사용하지만 디스플레이의 우위와 설비투자를 하면서 스마트폰 시장에 진입하는 데 있어서 이 제품은 전환점이 될 만한 제품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스마트폰의 시장이 ASP 평균 판매 단가 가 낮아지고 급속한 하드웨어적 발전보다 소프트웨어의 경쟁력이 강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휴대폰 제조사 입장에선 새로운 도전이 될 수 도 있다는 것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Disclose,공시 : LG스마트폰,WING 강화유리, 퀵커버에 대한 리뷰는 어떠한 리뷰에 대한 댓가를 받지 않으며, 마아이 쉴드 리뷰는 이벤트 응모를 위한 글임을 말씀드립니다.

       


      • LG 옵티머스 지프로 사용 후기
      • 악세서리 리뷰(마아이 쉴드, 퀵커버, WING 강화유리)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주인장의 일상2011. 7. 10. 14:00
      반응형


       
      구름 속에 있는 파일을 내가 이용하는 컴퓨터에 꺼내서 쓴다. 다양한 클라우드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가장 많은 용량과 접근성은 다음 클라우드가 좋다고 생각한다. 다양한 데이터를 올리고 내릴 수 있으며, 휴대폰에 데이터를 다운 받을 때는 USB 케이블을 번거롭게 찾지 않아도 된다는 점은 유비쿼터스에 어울리는 서비스가 클라우드 서비스라고 생각한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