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그리고 필름2011. 8. 26. 04:59
반응형

하게타카
카테고리
지은이 마야마 진 (미래인펴냄, 2008년)
상세보기

 


 하게타카는 일본어로 '콘돌'이라는 뜻이다. 콘돌은 육식성이고 성격이 포악하다. 그렇지만 그들이 먹는 것들은 대게 죽은짐승의 시체 혹은 살아있는 설치류 등이다. 약한 동물을 먹거나 죽은 것에서 그들의 식욕을 충족시키는 새로 일본에서는 이른바 '벌쳐펀드'나 '헤지펀드'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벌쳐 펀드는 기업의 수익성 악화나 자금 흐름 부족으로 인해 주가가 과도하게 하락 한 기업들을 싼값에 매수해 직원해고나 부동산 처분으로 경영 정상화 하여 빠른 시일내에 높은 수익을 달성하고 주식 매도 차익을 통해 수익을 얻는 펀드를 말한다. 
 아마 이들 펀드가 콘돌에 비유되는 이유도 빠른 시일, 무자비한 직원 해고, 단기자산 매각을 통한 현금을 주가로 반영하는 행동이 짐승이 하는 행동과 흡사해서 이렇게 부르는 것은 어쩌면 당연할 수도 있다.

 이 하게타카라는 영화는 과거 NHK에서 방영된 드라마를 새로운 상황 새로운 구성으로 만든 것이다. 과거에 드라마에서 보여준 LBO(Leverage Buy Out), Black Knight, White Knight, Golden Parachute등은 우리가 흔히 듣지만 너무나 생소해 이해하기 힘든 용어를 위주로 설명 되었다. 드라마 또한 경영이나 주식금융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해주는 에피타이저로 분명하다. 
 영화 버전의 하게타카는 분위기는 약간의 난이도와 시대상을 반영해 더 높은 평점을 내려 주고 싶다. 우선 영화에서 쓰인 메타포 떄문이다. 국가별로 하게타카는 일본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다양한 나라가 엃혀 있다.

CHLI(CHina Longterm Investment Fund)


 우선 중국국부펀드이다. 중국은 지난 21세기에 엄청난 성장을 이룩한 국가다. 그들은 CHLI라는 국부펀드가 등장한다. 이것은 현실에서 CIC(중국 투자 공사)인것 처럼 느껴지는데, 영화에서 등장하는 기업인 아카마 자동자(AKAMA)를 매수하여 그들의 나라에서 더 이상 단순한 제조공장에서 탈피하여 자동차 생산 기술을 흡수하려는 생각을 가진 것으로 나온다. 영화 후반에 미국의 커다란 투자은행 '스탠리 브라더스'를 인수한다. 그러나 이 것 또한 선진화된 금융기술을 기업을 삼키므로서 얻어가려고 하지만 투자은행이 가진 서브프라임 부실로 인해 두 기업 모두 흡수하지 못하고 토해내게 된다.

 둘째, 스탠리 브라더스, 아카마 자동차 이다.

 


 

스탠리 브라더스는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로 쓰러진 두 은행들을 지칭하는 것 같다. 모건 스탠리와 리먼 브라더스를 합친 말 처럼 느껴진다. 또한 영화에서 그들이 판매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파생상품을 열성적으로 팔던 기업 이미지로 실제의 투자은행을 떠오르게 하는 이미지이다. 그리고 아카마 자동차는 사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쌍용자동차를 떠오르게 한다. 과거 쌍용자동차는 상하이 자동차에 인수당했다가 다시 상하이 자동차가 쌍용자동차를 매각하게 되었다. 그 사이에 상당히 루머 스러웠지만 한국 자동차 기술과 생산 노하우를 중국 경쟁업체들에게 판게 아니냐는 것도 한동안 떠돌게 되었다.
 영화에서는 중국이 가진 경쟁 열위(disadvantage)를 극복하기 위해 아카마 자동차와 스탠리 브라더스의 인수로 극복하려는 끓임 없는 노력을 보이고 위에서 말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투자은행 주가의 급속한 폭락 그리고 그 이전에 투자은행과 거래하는 고객들이 자급줄이 막히는 것을 알고 용의주도하게 펀드를 해약하고 그 뉴스가 세계 주식시장을 돌아 실제로 전세계 금융시장에 위험을 전염시키는 것을 생생히 표현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셋째, 일본의 와시즈 펀드, MSG(일본 은행)이다.
 주인공 소개를 잠시 해야 될 것 같다. 와시즈라는 사람이 주인공으로 그는 과거 돈에만 집착해 은행원으로 일 할 때 대출을 한 사람을 자살로 몰고 간적이 있었다. 그렇지만 그가 이런 일이 벌어지고 난뒤 그는 미국으로 도망치듯 들어가 투자은행의 펀드매니저로 성공하게 된다. 드라마에서는 그가 미국 투자은행 소속으로 일본에 들어와 장기 침체에 빠진 일본기업들을 싼값에 매수해 단기차익을 노리는 형식으로 엄청난 수익을 일본으로 부터 빼앗아 미국으로 보내는데 큰 공을 세운다. 그러다 어느날 벌쳐 펀드에서 하는 행동과 과거 그의 과오로 -회사의 명령- 사람을 자살로 몰고 갔던 행동이 다르지 않다는 것을 깨닫고 기업의 진정한 속성에 대해서 주식에 진정한 속성에 대해 돈에 대한 속성에 대해 고민을 한다. 그는 비로소 돈 자체가 비극이라는 것을 깨닫고 자국의 성실한 기업을 지키기 위해 행동하고 그것으로 돈을 버는 수익 모델로 삼는다.
 아마 이 와시즈 펀드는 가상의 펀드이지만 오늘날 생각해보면 노무라 증권이 떠오르는 이유가 무엇일까? 기억이 올바르진 않지만 신문에서 노무라 증권 사장의 인터뷰 내용을 들었던 적이 있다. 그 또한 과거 일본의 장기 불황에 대해 이야기를 하고 현재 일본이 빠진 무기력증에 대해 안타까워했지만 일본은 아직 성실하고 저평가 되어있다고 역설한 인터뷰 내용이 떠올랏다.
 그것은 그 영화에서 나오는 주인공이 느끼는 대목과 흡사했다. 또한 영화 중간에 중국 국부 펀드를 등에 엎은 블루월이라는 펀드가 아카마 자동차를 인수하게 되고 이것에 대한 묘수로 와시즈 펀드는 스탠리 브라더스에 매수 의향을 밝히게 된다. 그리고 스탠리 브라더스는 당연히 매수를 피하기 위해 중국 국부 펀드와 손을 잡게 되어 국부 펀드에게 그들의 지분을 팔게 되었다.
 그러나 스탠리 브라더스는 엄청난 파생상품 손실이 난 상태였고 와시즈 펀드는 이러한 불량 기업을 모조리 팔게 된다. 그 이후 싸질 대로 싸진 이 투자은행의 행로는 아마도 현실과 흡사하지 않았을까 상상을 해본다.

 그리고 다양한 인물들이 나오는데, 중국 국부 펀드를 등에 엎은 블루월의 펀드 매니저 류이화, 와시즈 펀드로 자국의 성실한 기업을 지키는 와시즈, 그리고 일본의 언론, 이러한 M&A 과정에서 조언을 해주면서 광만 팔고 있는 스탠리 브라더스, 아카마 자동차에서 파트타임을 뛰는 무라야마, 그 회사를 경영하지만 처음엔 경영권을 방어하려고 하지만 엄청난 돈 앞에서 탐욕적으로 변해가는 사장 등이 나온다. 각 인물들이 보여주고 있는 군상은 마치 자본주의라는 것은 어떤 형식으로든 변할 수 있고 역사에서는 다양한 모습으로 존재해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다란 의미에서는 어떤 나라도 아직 이상적인 자본주의를 구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우리는 20세기 후반부터 오늘날 까지 반세기가 넘도록 미국식자본주의가 이상점이라고 말하는 이데올로기에 살아왔다. 우리나라, 일본, 그리고 기타 선진국까지 미국식 자본주의는 이상향이자 벤치마크였고 그 자체가 교과서라는 믿음에서 살아온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10년 전까지만해도 빌 게이츠의 기업가 정신, 젝 웰치의 최적 고용 등 미국의 사례 연구를 통해 우리도 미국처럼 잘 살수 있다라는 notion으로 달려온 것이 사실이다. 또한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지기 전까진 미국 자본주의는 새로운 국면으로 발전 한다는 것을 잡아내 영국,일본, 한국 등 다양한 나라들이 흉내를 내려고 했었다. 그 속에 우리+국민+하나를 합쳐 메가 뱅크라는 글로벌 투자은행의 설립을 제안한 것도 이러한 금융 자본주의로의 추종으로 인한 하나의 헤프닝이 었다.
 

 류이화 또한 기존 발달한 자본주의 국가의 기업을 매수하여 기술을 합치는 자본주의의 대안을 모색했지만 결국 수전노 처럼 돈 자체를 좇는 천민자본주의의 단상을 보여주었고 와시즈는 성실한 자본주의를 표방했지만 헤지펀드처럼 과대하게 평가된 기업을 팔아버리는 헤지펀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결국 영화는 자본주의라는 것이 비극 그 자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돈이 많아도 비극이 되고 돈이 없어도 비극이 된다라는 영화의 말은 시청자들에게 행복으로 가는 자본주의란 없는 것일까 라는 물음을 던진다.

 

 주가도 기업도 세상도 어떤 것도 급격히 바뀌지만 이것은 겉모습일 뿐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사회에 참여하는 사람도 마찬가지다. 자본주의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이 말은 지극히 회색적인 어조이지만 최근에 보여준 사회적 양상은 우리로 하여금 행복한 자본주의를 바라보게 한다. 나도 자본주의에 대한 회의론은 지극히 싫어하며 이 세상이 자본주의라는 것에 감사하지만 적어도 방향성은 올바르게 바로 잡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국에서 보여준 버핏 신드롬이나 오늘날 무상급식 투표, 글로벌 석유 회사인 체서피크를 본다면 자본주의가 삭막하지 않다. 몇 주전 워렌 버핏은 부자들에게 주어진 감세 혜택을 다시 되돌려 슈퍼 리치들에게 세금을 더 거두어 달라라고 말한 것이나 무상급식에 대한 투표가 가결된 것은 선거를 하는 유권자들의 기존 권력을 가진 자들의 궁금증이나 글로벌 석유 회사인 체서피크 는 임원이 나서서 직원들의 고충을 해결 하기 위해 고충 센터를 지어 직원 직원 프로그램을 진심으로 실천하는 모습등은 자본주의가 가진 태생적 한계를 극복하고 사회구성원들로 하여금 웃음 짓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 아닐까 생각하며 영화의 감상평을 마친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대가들의 한마디2011. 8. 26. 01:30
반응형

2011년 또 다시 찾아온 블랙먼데이를 바라보며



안녕하십니까, 고객님. 에셋플러스자산운용 강방천입니다.


최근의 급격한 시장 변화에 많이 당황하셨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시장에 대해 우려하시고 앞으로의 투자를 고민하시는 고객님들께서 전화로 많은 문의를 주고 계신 것 같습니다. 걱정하시는 고객님 한 분 한 분 찾아 뵙고 말씀 드리는 것이 도리겠으나, 서신을 통해 저희 에셋플러스의 생각을 전해드리고자 합니다.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 앤 푸어스(S&P)가 미국 국가신용 등급을 AAA에서 AA+로 강등했습니다. 70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미국의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시장의 불확실성은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걱정과 맞물려 공포로 확산됐습니다. 미국의 채무상환 능력에 전혀 문제가 없다는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기자회견에도 추락하는 시장을 막기는 역부족으로 보입니다.


지구 반대편에서 일어난 사건에 당황해 하는 것도 잠시, 국내 주식시장에도 공포의 파고가 덮쳤습니다. 지난 8월 8일 월요일의 증시는 모두에게 충격으로 다가왔습니다. 많은 투자자가 공포에 떨며 주식을 투매하고 있습니다. 공포를 이기지 못하고 시장을 떠나는 투자자들의 모습이 3년 전 금융위기를 떠올리게 만듭니다.


2008년 9월, 미국발 블랙먼데이의 충격적인 소식은 전 세계 투자자를 공포에 떨게 하기 충분했습니다. 리먼브라더스 등 5대 메이저 투자은행 중 3곳이 사라지고 미국 곳곳에서 은행들의 파산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예외가 아니어서 KOSPI가 900P까지 떨어졌습니다. 크고 작은 상처를 입은 많은 사람이 시장에 등을 돌렸고, 시장이 300P 간다 500P 간다는 알 수 없는 예측들이 난무했던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런 때야말로 시장을 떠나지 말아야 한다고 고객님께 말씀 드린 바 있습니다. 공포가 지나가면 엄청난 축제가 찾아올 것임을 그동안의 겪어온 투자 역사 속에서 직접 겪으며 절실히 깨달았기 때문입니다. 특히 극심한 불황을 이겨내고 끝까지 살아남을 일등기업과 함께라면 더 큰 축제의 장을 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외쳤습니다.


그때나 지금이나 공포가 공포를 지배하는 국면임은 같습니다. 하지만 공포의 양상은 그때와는 분명 다릅니다.


첫째, 2008년 금융위기가 구조적인 금융시스템의 문제에서 왔다면, 지금의 공포는 신용위험의 위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가상승을 이끄는 프리미엄은 그것이 시장에 반영되면 더는 프리미엄이 아닙니다. 신용위험은 늘 있어 왔습니다. 가격하락을 부르는 위험조차 시장가격 하락에 반영되면 더는 위험이 아닙니다.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 신용위기에는 분명 위험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번 위험은 그 이상의 주가하락으로 충분히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미 위험이 가격에 반영됐음에도 공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둘째, 설령 이번 위기로 기업 실적이 둔화되더라도 한국시장은 여전히 매력적입니다.한국시장의 PER(주가수익비율)은 기업 가치에 비해 현저히 저평가돼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번 신용위기로 미국 경제가 타격을 입는다고 하더라도 기업 이익이 훼손되는 정도는 크지 않을 것입니다. 미국 중심의 수출 구조가 상당 부분 중국 위주로 전환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적극적인 구조조정과 함께 생산성을 높이고 경쟁력을 키우는 등, 국내 기업들의 노력 또한 그들의 체질을 더욱 강건하게 하고 있습니다.


셋째, 전 세계 유동성이 어디로 흐를 것인지의 문제입니다. 전 세계를 떠돌아 다니는 유동성 자체는 당분간 축소되지는 않을 것으로 봅니다. 그렇다면 이 유동성이 어떤 자산에, 어느 지역에, 그리고 어떤 기업에 투자할 것인지를 조망해봅니다. 그동안 가장 안전하다고 여긴 미국과 유럽, 가장 안전한 자산이라 생각한 국채의 투자위험이 높아졌습니다. 이번 위기는 미국과 국채라는 안전지대 일변도의 투자방향성이 점차 재정자립도 및 통화정책 수단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와 우량한 주식 쪽으로 다극화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존경하는 고객님.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질 때일수록 저는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을 되새깁니다. 작금의 상황이 전 세계 경제에 충격을 주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에 지나치게 휘둘리고 있지는 않은지 이성적으로 생각해봅니다. 주식시장은 기업 이익을 먹고 사는 시장입니다. 기업 이익이 훼손되지 않는 한, 시장은 다시 회복하기 마련입니다. 주식 투자자로서 우리가 주목해야 하는 것은 눈 앞의 공포스러운 사실보다 기업 이익이 얼마나 훼손될 것인지의 문제입니다.


우리는 지금 또다시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지금 이 상황이 얼마나 심각해질 지, 또 얼마나 많은 공포가 시장에 닥칠지는 알 수 없습니다. 2008년 금융위기에서 겪은 아픔과 경험으로 무장해 현명한 판단이 필요할 때입니다. 공포의 반대편에 있는 기회를 보고, 떨어지는 주가가 아닌 돋보이는 가치에 주목하며, 시장을 등지기보다 훌륭한 기업의 주주로 참여해야 합니다.


다행히 우리 주변에는 이 세상을 이끌어 나가고 우리에게 주주의 가치를 높여주는 기업이 있습니다. 좋은 기업의 주주라면, 그리고 좋은 펀드의 투자자라면 인내의 끈을 놓아서는 안됩니다. 저는 늘 곁에서 고객님을 응원하겠습니다.

2011년 8월 10일 에셋플러스자산운용㈜

회장 강방천 드림




  종종 믿음에도 가치가 있다라는 말을 생각한다. 어떤 사람의 격앙된 어조의 말은 어떠한 공감도 이끌어 내지도,행동이나 생각을 바꾸지도 않는다. 그렇지만, 위의 글은 처럼 자신의 진실한 경험과 믿음은 가치를 가지며 공감대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엄청난 힘이 들어있다.

나는 2008년 서브 프라임 때 부터 강방천투자자가 쓴 책이나 그의 투자운용사의 모습을 지켜보았다. 지켜보았다는 말은 다소 건방진 말일 수도 있다. 다양한 강연이나 위기의 순간에서 그의 논조는 힘이 있고 믿음이 있다고 느꼇다. 특히 몇 몇 투자시장에서 성공을 거둔 분들 중에서 내가 존경하는 것은 그가 펀드를 직접 판매하고 그 직접 구매한 투자자들에게 위기의 순간에 리더쉽을 발휘하는 것이다. 위의 편지 처럼 큰 변곡점에서 투자자들이 공포에 휩쌓이거나 투자 의사결정이 쉽지 않을 때 그의 편지는 우리 나라의 자본시장이 가져야 되는 책임감이나 신의성실 의무를 몸소 실천하고 있지 않나 생각한다.

내 생각은 이번 위기가 미국이 진앙이 아니라는 것과 우리가 우려 할 만큼 실물경제나 금융경제가 쉽게 쇼크를 받을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그러나 우리가 아직 인지하지 못한 부분에 위험이 있다는 것은 여전히 유효하다. 그렇지만 나의 어리석은 생각과 반대되는 이러한 편지의 주장은 전혀 거부감이 없다.

종종 시장이 좋지 않다는 것과 주식시장에 가치주에 투자하는 것을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쉽게 말해 나는 내가 투자하는 자산이 고평가되거나 테마에 사로잡힌 곳에 들어가기 싫다는 것이다. 특히 시장이 좋지 않는 경우에 고 PER이나 자신이 분석한 기업이라고 해서 투자를 감행하는 오류를 범하는 것은 떨어지는 칼날에 장갑을 벗고 잡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고 나는 판단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를 하는 포트폴리오의 변화를 가져다 줄 수 없기에 단호히 펀드나 투자금을 회수 하는 것이 옳다. 그렇지만 이 돈을 다른 가치주식에 투자하는 펀드에 든 경우가 이런 생각에서 비롯됫다고 본다.

나 스스로 되물어 본다. 이렇게 큰 하락을 생각하고 현금화 하였는데 왜 풋옵션이나 ELW 그리고 ETF에 인버스 종목을 사거나 대주거래를 통해 추가 이익을 얻을수 있지 않았냐고 질문해본다. -물론 예상이라는 것도 오류투성이의 사념일 뿐이다-. 그렇지만 나는 더 큰 교훈을 얻었다고 생각한다. 엄청난 돈 명예나 이런 것은 너무나 일회적이다. 그것보다 경험이라는 무형자산을 기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합리화를 하고 싶다(나는 이것이 더 큰 가치라고 본다) 주식시장이 폭락하는 상황을 지켜보고 느낀 것은 여전히 과잉된 쏠림 현상은 스스로 붕괴과정을 거치며 시장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 했다. 예를 들어 투자자들은 좀 더 테마적이고 재밋는 주식을 찾길 좋아했다. 예를 들어 신성장동력이라고 부르는 태양광, 2차전지, 4세대 통신, 레져, 헬스 와 같은 기업들의 이익구조나 주가 대비 이익을 생각하지 않고 투자했다. 대가 들이 꾸짓는 미래를 계산하는 실수들 말이다.
 기업들의 단기적인 움직임은 기업 자체의 뼈대나 체력으로 평가 받기 보다 그 주식을 들고 있는 사람들의 기분이나 표정에 의해 움직인다느 것이다. 이 말은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저서 중 한국어로 번역된 '주식투자는 심리게임이다'라는 대목을 떠올릴 수 있는 부분이다. 주식 투자라는 것은 예전 강방천 투자자께서 말한 부분이 떠오른다. 그 분은 스스로 주식이란 놈에 대해 일주일 동안 고민했다고 했다. 결국 그가 찾아낸 결론은 주식은 기업의 주인이 된다는 것이고 그 기업 주식을 들고 있는 동안은 그는 사원이며 경영자이며 사업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어야 된다고 말했다. 그런데 대개 우리가 보는 주가는 하루에도 몇 %센트씩 움직이고 하루 아침에 망할 것 같이 폭락하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단지 사람들의 탐욕과 공포가 뒤섞여 만들어 내는 찌꺼기에 불과하다는 것을 느꼇다. 주식으로 돈을 벌고 싶은지 야바위를 해서 돈을 벌고 싶은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전자라면 강방천 투자자가 말하는 위기에 진주같은 주식을 캐내는 것은 정말 중요한 말이다.

내 소명은 나를 믿는 투자자들에게 나의 부족하지만 성실한 역량으로 성실한 기업에 투자하고 그 성실한 기업은 다시 사회에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하는 것이다.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기업은 금융시장에서 더 많은 투자자들에게 인정받게 될 것이다.그리고 내가 투자한 펀드는 지속적으로 이러한 기업을 서로 도우며 커나가고 이 것은 성실하게 일한 나의 투자자들을 위해 노후자금으로, 결혼 자금으로, 학자금으로 다양하게 사용될 것이다. 자신의 업무와 복잡한 투자의사결정을 병행할 압박을 줄여줘 사회는 더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나 또한 나의 펀드에 투자하여 함께 커가며 사회를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들것이다. 이러한 소명이 가치를 가지는 순간도 위의 투자자들에 대한 편지처럼 믿음이 깃들어 있을 때가 아닐까 느낀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