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두번째입니다. 상당히 무섭습니다(틀릴까봐..). 1도 수정할 것이 산더미 만큼 많은데 수정하기가 겁나네요... 이미지 배치가 제일 걱정입니다.

부제:virtu에 대하여.

2. ‘virtu‘

군주론은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으며(헌정사를 제외해 총 2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에는 국가의 종류(특히 군주국에 대해)와 획득 방법에 대해서 말하고, 이후 군주론이라는 이름답게 ‘새로운’ 국가에서 ‘새로운’ 군주가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해 무력과 설득(력)으로 나누어서 이야기한다. 즉, 군주론의 정수는 무력과 설득(력)이라는 'virtu'(역량 혹은 덕)를 모두 겸비한 군주는 역사적 국면에서 헤게모니를 잡을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먼저 군주론에 있어 자주 등장하고 중요한 용어인 'virtu‘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virtu’ 혹은 ’virtuoso’는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역량이나 덕에서부터 능력이나 기술, 화력, 결단력, 힘, 기백, 용기, 용감함, 용맹, 무훈, 기백, 뛰어난 성품, 위대한 정신 심지어 활의 위력(virtu)를 나타내는 물리적 대상에 까지 다양한 뜻을 지니고 있는 이 용어는 통상적으로 역량이나 덕의 의미를 지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것이 항상 선한 뜻을 지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사실 마키아벨리는 이 용어를 선과 악의 구분 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간혹 ‘무자비함‘으로 번역되기도 한다. 흔히 마키아벨리를 보고 잔혹하다느니 피도 눈물도 없다느니 하는 비판을 자주 하는데 아마 목적을 위해서라면 악행도 괜찮다는 이 용어 때문이 아닐까 싶다. 한편으로 우리는 이러한 'virtu'를 악으로써 남용한 나치를 알고 있는데, 이들도 결국은 파멸했다. 즉, 군주는 이러한 ’virtu‘를 적절히 겸비해야만 하며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 결국 실패하고 만다.

마키아벨리는 'vritu‘중에서도 특히 무력과 설득(력)을 겸비한 군주는 어떠한 시련도 극복할 수 있으며, 시련을 극복한 군주는 새로운 국가를 잘 유지해나갈 수 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군주는 무력과 설득 중 어떤 역량을 먼저 겸비해야 하는가? 마키아벨리는 이러한 물음에 무력이 먼저라고 주장한다. 마키아벨리는 인민을 믿지 못하며, 과거 설득(력)만을 겸비한 군주는 모두 실패했다고 말한다. 왜냐하면 무력은 자신의 실질적인 힘인데 반해, 설득은 다른 사람에게 비전(Vision)을 제시하는 힘일 뿐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마키아벨리에게는 군주 ’자신’의 힘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군대에 대한 입장에서도 마키아벨리의 생각은 잘 나는데, 무력이 자신의 실질적인 힘이라면 군주는 자신의 군대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가 이렇게 분열된 이유 중 주된 이유는 용병의 사용이며, 이들을 이용하는 군주는 무력을 가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새로운 군주는 자신의 군대를 만들어야 하며, 그것을 계속 유지시키고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무력은 물리적인 힘만이 아닌 제도적인 법(질서)도 의미하는데, Well-odered law(좋은 법)은 합법적으로 인민을 통치하고 군주의 주장을 관철시킬 수 있는 군주의 무기인 것이다.

‘모든 국가의 토대는 좋은 법과 좋은 군대이며, 좋은 군대가 없으면 좋은 법을 가지기란 불가능하고, 좋은 군대가 있는 곳에는 항상 좋은 법이 있다.’ - 마키아벨리 

__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
내 서재속에는2011. 7. 16. 19:46
반응형

비판적사고력연습
카테고리 인문 > 심리학 > 감정/학습심리 > 인식과사고
지은이 M. 닐 브라운 (돈키호테, 2010년)
상세보기


 우리나라에서는 비난과 비판의 차이를 크게 다루지 않습니다. 마치 틀리다와 다르다를 비슷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 처럼 말이죠. 그러나 비난은 감정싸움을 낳지만 비판은 발전을 낳습니다. 그렇기에 위의 비판적 사고력 연습이라는 책은 생각의 확장을 더욱 넓혀줄 것이기에 독후감을 남깁니다.^^


 비난은 악의와 열등감에서 피어오르고 비판은 호기심에서 시작한다. 비판과 비난의 차이점은 무엇일까?라는 물음의 나의 대답은 이렇다. 회의나 대화에서 비판은 주위 사람들의 따가운 일침을 놓는 듯하게 보인다. 물론 이러한 비판적 질문을 받았던 나에게도 당혹감을 주기도 한다. 나름대로 재밋게 흘러가는 이야기에서 비판과 비난은 다소 기분을 상하게 할 수도 화자로 하여금 다시 생각하게끔 만드는 요소 중 하나이다. 또한 비판은 이성적 사고를 가진 사람이 상대방의 이야기를 듣고 작동하는 올바른 방어기제다. 마지막으로 비판은 서로의 지식을 창조하지만 비난은 또 다른 비난과 싸움을 낳는다는 차이를 가지고 있다.

 오늘은 엄청난 정보와 소음이 문자, 음성, 영상 그밖에 많은 매체를 통해 들어온다. 우리가 정보에 노출이라는 단어를 쓰기가 적합할 정도로 많은 양 정보와 소음 꾸러미가 머릿속을 지나가고 눈을 통해 읽혀지고 봐지고 귀를 통해 들어온다. 또한 이러한 정보를 받아들일 때 조차, 우리는 단순한 방법-그저 외우고, 통계가 그럴 듯하면 맞다고 생각한다-으로 정보를 쉽게 받아 들인다. 물론 이러한 받아 들인 지식은 쌓이면 유용해지고 학문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단순한 정보의 암기, 경험이 아닌 문자 속의 학문, 남에게 알리기 위한 학문, 실생활과 동떨어 진 학문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이 책은 엄청나게 많은 정보 속에서 머리아픈 소음을 제거하고 그 속에서 '금'을 찾는 법을 가르쳐 준다. 그러나 이 책이 "연습"이라는 것을 붙인 거도 독자들의 참여가 결국 해결책이라는 것을 말하고 있다. 마치 성인을 상대로 리딩스킬이라는 것을 가르쳐다고 느낄 만큼 이 책은 체계적이며 각 단원별로 문제가 나와있다. 우선 열 한가지의 질문 속에서 간단히 내용을 정리하며 내려 갈 수 있다.

  첫째, 이슈와 결론은 무엇인가? 이슈와 결론은 어느 글에서든 존재한다. 심지어 !,?과 같은 비언어적인 기호에서 까지 이슈와 결론을 느낄 수 있다. 이런 것은 사람이 의사소통을 하면서 가장 기본적으로 알게 되는 요소이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쉽게 자신이 이슈와 결론을 안다고 생각한다. 실상은 자신이 보고 싶은 대로 보는 경우나 다른 생각이나 다른 요소가 결합되어 말하는 사람은 "갑"을 말하는대 대답하는 사람은 "을"로 대답하는 경우는 일상생활 뿐 만 아니라 공식적인 회의에서 까지 발견된다. 상대가 무엇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지 그래서 그 사람의 반응(결론)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비판적인 사고를 시작할 수 있다.

 둘째, 이유는 무엇인가? 아무리 매혹적인 이슈고 현명한 결론이라고 할 지라도, 이유가 없다면 이것은 무의미하다. 사람들끼리 이야기 할 때 "좋은게 좋은거다"라는 식으로 결론이 이유가되고 이유가 결론이 되는 이상한 문장을 읽고 선뜻 동의해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유가 빠져있다면 대게 효과적인 결론이 아닐 가능성이 크다.

 셋째, 어떤 단어나 어구가 애매한가? 예를 들어 우리는 회의에 부적합한 의상은 회의진행이 더뎌진다. 이러한 문장이 있다면 부적합한 의상이라는 것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왜냐하면 이러한 단어는 상당히 범위가 넓기 때문에 언뜻 결정내리기 힘들다. 이 문장은 우리는 회의에 운동복을 입고오면 회의진행에 방해가 되어 회의시간이 길어진다.로 바꿀 수 있다.

 넷째, 가치 갈등과 가치 가정은 무엇인가? 어떠한 글을 쓸 때 사람은 논점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만 이 논점을 선택하므로서 잃게 되는 가치는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형집행 반대에 대한 글을 쓴다면 그가 가지는 가치 가정은 사람의 생명권을 사형수가 가져다준 사회의 피해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생명과 사회적 피해가 가치갈등이 되고 그는 생명이 중요하다는 가치 가정을 하여 결론을 내릴 것이다.

 다섯째, 기술적 가정은 무엇인가? 기술적 가정이란 정보에 대한 주가는 모든 정보를 신속하고 빠짐없이 반영할 것이라는 효율적 시장 가설과 같은 가설에서부터 시작한다.-효율적 시장 이론이라고 주장하지만 우리의 인지는 언제나 불완전하다-고차원적인 결론은 이러한 기술적 가정이 숨겨져 있으며, 아무리 결론이 그럴듯 하더라도 비현실적인 가정이나 무리한 가설을 세운다면 비판을 받는 것이 당연하다.

 여섯째, 추론에 오류가 있는가? 나는 이부분에 상당히 내가 잘못해오고 있음을 발견했다. 특히 유추나 비유라는 설명법을 자주 사용해왔기 때문에 배울점이 많았다. 비유를 하거나 유추를 할 때 단순히 뜨거운 물과 불이 뜨겁다는 이유로 비유로 사용되어선 안된다는 것이다. 뜨거운 물은 액체이며 불은 플라즈마 상태이므로 서로 다른 것이라는 오류를 범하고 있다.

 일곱째, 증거가 얼마나 훌륭한가? 종종 말싸움을 하다보면 "증거있냐?"라고 물어보고 적당한 증거를 말하지 못할 때 상당히 곤욕스럽다. 그러나 이러한 증거를 자신의 논지를 강화하기 위해 유리하게 만들거나 주관적이라면 이 말은 더 가치가 없어진다.

 여덟째, 경쟁요인이 있는가? 경쟁요인은 내가 무엇을 선택하므로서 다른 것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미국은 이라크 전쟁을 하면서 그들을 도울 수 있습니다. 전쟁을 하면서 군인이 들어와서 그들을 돕는다는 말은 때에따라 맞을 수 있지만 서로간의 경쟁요인이 될 수 도 있다. 즉, 어떤 것을 하면서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주장은 종종 모순점을 발견할 떄가 많다.

 아홉째, 통계에 속임수가 있지 않은가? 통계는 가장 객관적이지만 가장 위험한 것이다. 통계의 응답자 수가 작거나 이 표본이 전체를 대표하지 못하면 속임수가 생겼다고 말할 수 있다.

 열번째, 중요한 정보가 빠져 있지 않은가? 우리는 많은 요소를 생각하느라 결국 중요한 정보를 빠뜨렸을 수도 있다.

 열한 번째, 어떤 합당한 결론이 가능한가? 이것은 모든 요소를 생각해서 다시 한번 확인해보는 것이다.

 

- 비판적 사고의 묘미

 비판적 사고는 싸움이 아니고 지식자랑이 아니다. 우리가 보다 의사소통을 원할하고 가치롭게 하는 일종에 소스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를 통해 이야기를 할 때 주의해야 되는 것은 자신이 저격수인냥 한번의 말에 모든것을 결정지으려는 생각보다는 나의 호기심을 위해 궁금하다는 태도로 비판적 사고를 가해야한다. 또한 이렇게 생활하면서 얻어지는 지식은 단순히 스펀지처럼 암기한 지식이나 경험보다 인생의 금과 같이 빛날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스탠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