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꼬리를 무는 경제 용어 정리
변동금리(floating rate) : 기준금리가 변할 때마다 변하는 금리다. 기준 금리는 보통 COFIX, CD금리가 기준이된다. 그렇다면
COFIX, CD는 무언가요?
COFIX (Cost Of Funds IndeX) : 은행연합회가 발표하는 은행권 자금조달비용지수로 2010년 2월 16일 주택담보대출 기준금리를 말한다. 매달 15일 발표하고 코픽스 산출 기준은 정기예적금,주택부금,양도성예금증서(CD),금융채등 포함
CD(양도성 예금증서,Certificate of Deposit) : 시장에서 양도(판매)가 가능한 정기예금증서를 말함. 예를 들어 은행은 자금 조달을 위해 CD를 발행하고 투자자는 투자를 목적으로 정기예금증서인 CD를 가입하게 된다. 여타 정기예금증서와 달리 투자자는 매입한 CD를 만기전에 다른 투자자에게 팔 수 있다는 것이 특징!
거치기간 ?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은 후 원금을 상환하기 전에 이자만 매달 납부하도록 하는 기간.
예를 들어 학자금 대출을 금리 2%에 100만원 대출 받고 거치기간 2년을 설정하면, 2년 동안은 1년간 이자 2만원만 내고 원금을 갚을 필요는 없습니다.
KB 국민은행엥 들어가 검색에 금융계산기를 치면 대출을 계산할 수 있는 게 있습니다. 원리금, 원금,원금일시상환 방식의 특징이나 차이점을 알아보시죠
원리금 균등상환방식
대출을 받았을 때 매달 원금과 이자를 같은 금액으로 나누어 갚아가는 방식이다. 초기에는 원금이 많이 남아있으므로 이자를 많이 지급해야 하지만 상환할수록 대출원금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자도 점차 줄어듭니다.
원금균등상환 방식
매달 원금을 일정하게 상환하는 방법으로 ,그에 대한 이자는 줄어들게 됩니다. 매월 이자가 달라지기 때문에 매월 납입하는 상환금액도 다릅니다.
원금만기일시상환방식
이자를 매달 납부하고, 대출만기일에 원금을 일시에 상환하는 방식입니다.
종합
이자 부담이 적은 순서대로 원금상환방식이 가장 작고 원리금상환방식이 그다음, 마지막에 원금을 갚는 것이 이자를 많이 냅니다.
출처 : 손에 잡히는 경제 3월 4일
'My way > 경제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평적 다각화란? (0) | 2013.07.29 |
---|---|
오늘의 경제용어 CDS 공부 (0) | 2011.11.08 |
ISD(투자자국가소송제도) (0) | 201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