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이나 재무설계쪽으로 관심이 가는 사람입니다.
CFP를 하려고 하는데 CFA를 알게되서요...
CFA자격증을 소지하면 CFP시험을 볼수있는 자격을 준다는데...
그렇다면 CFA자격증이 더 상위 자격증입니까?
각각의 자격증이 쓰이는 분야와 각 자격증의 난이도를 알고싶습니다.
두 시험의 경우 용도가 전혀 틀립니다. 그러나 시험의 난이도로 본다면 CFA가 어렵습니다.
3차에 걸친 시험과 시험문제가 영문이며 3차시험의 경우 영문 에세이로 작성하여야 한다는 점등이 더욱 어렵게 느껴지는 이유이고요
그러나 단순 비교하기란 어려울 것입니다.
CFP 즉 재무설계사는 말그대로 개인재무에 포인트가 되어지며 CFA는 기업재무에 포인트가 있습니다.
특히 CFP는 개인재무에 관련된 투자뿐만 아닌 보험, 은퇴, 세무, 상속등의 분야까지 포괄적으로 공부하는 것이며 CFA는 기업재무에 대하여 회계, 투자, 통계, 경제학, 윤리등등에 관련된 분야를 집중합니다.
쓰이는 분야는 CFA는 애널리스트와 펀드매니저, 딜러, 브로커등이 대표적인 분야이며 CFP는 PB, WM등의 재무관리가 대표적 분야입니다.
둘 다 자격증의 난이도는 해당되는 분야에서 최상의 자격증으로써 최고의 난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CFP는 AFPK를 먼저 합격하여야 자격이 주어지고 일정시간이상의 연수를 받아야 CFP시험에 응시할수 있으며 또한 2일에 걸쳐서 이론과 실무에 관련된 시험을 보게 됩니다
AFPK는 국내의 증권, 은행FP와 비슷한 난이도의 시험이며 CFP의 난이도는 이론만이 아닌 실무적 요인도 들어있기에 만만치는 않습니다.
CFA는 3년에 걸쳐서 시험을 보며 (현재는 2년정도로 줄어들수도 있습니다(1차, 2차동시준비시)
두 시험 모두 준비된 사람들에 한하여 시험을 치르는 것을 감안한다면 CFP의 합격률은 20%대이며 CFA는 30%대정도로 알고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아무나 보는 것이 아닌 제대로 준비했다고 생각하는 수험생들이 본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높은 편은 아닙니다)
그러나 두가지 다 획득한다면^^ 최상이겠지요~ 저도 CFA를 다시 준비하려고 하지만 시간에 쫓기다 보니 만만치는 않을 것 같네요
부디 합격의 영광이 있으시길..
네이버재테크전문가 홍성우, CFP (post0318@naver.com)
CFA가 훨씬 어렵고 금융권과 대학에서 국내 최고의 대우를 받는 자격증입니다.
CFA는 국제적으로 공인된 자격증으로 3차의 걸친 시험과 1년에 1번 밖에 시험을
볼 수 없어 한 번에 합격하더라도 3년이상이 소요됩니다. 그리고 영문시험이고
시험도 미국에서 봐야 합니다. 그리고 전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됩니다.
CFA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국립대 경상계열의 교수로 임용되기도 하며
지방사립대의 경우는 원서 내는데로 교수로 임용됩니다.
투자신탁회사나 투자운용회사에서는 초봉부터 억대연봉을 받습니다.
그러나 CFP는 보험사와 은행, 증권사에서 개인의 재무설계에 필요한
세무, 상속, 은퇴, 보험 등에 관련된 기초 지식을 인증하는 자격증입니다.
국내에 도입된지도 얼마 되지 않았고 일부 선진국에서만 통용되는 자격증입니다.
이 자격증을 가졌다고 해서 큰 메리트는 없으며 은행이나 증권, 보험사에서
영업 쪽에 있는 분들이 필요한 자격증으로 영업과 관련된 직군이 아니라면
전혀 쓸모가 없습니다. 또한, 국내에선 국가로부터 공인되지 않은 자격증으로
초기의 공인중개사 자격증과 같다고 보면 됩니다.
만일 현재 경상계열의 대학학부생이나 대학원생, 전문직에 도전하는 분이라면
CFA를 권해드립니다. 하지만 미국공인회계사보다 훨씬 어려운 시험이기 때문에
왠만한 각오와 자금 여력이 없다면 준비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공인회계사 시험과 난이도가 맘먹습니다.
그러나 금융권의 개인재무설계에 관심이 있다면 CFP에 도전하시기 바랍니다.
CFP는 AFPK를 합격해야 응시할 수 있으며 해당 사립교육기관의 교육을 반드시
이수해야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점 때문에 상업적이라는 비난도 있으며
국가에서 공인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CFA에 비해 비용도 훨씬 저렴하고
시험 난이도도 쉬워 AFPK와 CFP를 모두 합쳐 수험기간도 6개월에 합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CFP를 합격하더라도 보험, 은행, 증권, 부동산, 세무관련 직종에서
3년 이상의 실무경력이 있어야만 정식으로 인증되기 때문에 미리 준비하기
보다는 보험, 증권, 은행에서 일하시면서 준비하시면 됩니다.
대부분 실무에 있는 분들이 응시하기 때문에 교육도 주말반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또한 외국계 보험사의 경우 회사에서 일부 비용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CFP 자격증의 현재 위치와 향후 비젼, 실무에서 활용법 등에 대해 보다
자세한 정보를 원하시면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버스토리]금융 관련 자격의 샛별 CFA (0) | 2013.08.06 |
---|---|
CFA Level-1 질문입니다 (1) | 2013.08.06 |
CFA와 FRM에 관해 질문이 있습니다! (0) | 2013.08.06 |